광주시-전남도, 취약계층 난방비 긴급지원 나선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광주시, 에너지 바우처 대상 제외
차상위 계층 등에 20만원 지원
전남도, 264억원 긴급 투입
홀몸노인-한부모가정 부담 덜어줘

강추위가 이어지면서 서민들의 난방비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와 전남도가 소외계층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긴급 지원에 나섰다. 대도시인 광주시는 유아 양육가정을, 농도(農道)인 전남도는 농어업인을 중점 지원한다.

광주시는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 따른 취약계층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총 341억 원을 긴급 지원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에너지 바우처 지원, 가스요금 할인 등 정부 지원책만으로는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까지 대상을 확대했다. 광주시의 난방비 정책 추진으로 혜택을 보는 가구는 총 16만7641가구에 달한다. 광주시가 소외계층에 대해 난방비 긴급 지원에 나선 것은 지난해보다 도시가스 요금은 35.8%, 전기요금은 18.4%가 각각 인상돼 가계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에너지 바우처 지급 대상에서 제외돼 혜택을 받지 못하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 계층 등 3만7636가구에 가구당 난방비 20만 원을 지원한다. 또 0∼5세 영유아 양육가정 4만6223가구에 가구당 난방비 20만 원을 지급한다. 영유아 양육가정 난방비 지원은 전국 자치단체 중 광주가 유일하다.

광주시는 한파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기요양기관 260곳을 대상으로 난방비 40만 원을 특별 지원한다.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어린이집 난방비, 경로당 난방비 지원 등의 사업도 확대한다. 어린이집은 지원 대상을 890곳에서 940곳으로 늘려 기존 60만 원에 20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경로당 1365곳에 대해서는 기존 지원비를 연 185만 원에서 205만 원으로 늘린다. 난방비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는 식당 등 위생업소 4만4000여 곳의 도시가스 요금을 3개월 분할 납부하는 방안도 해양에너지와 협의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고물가·고금리 등 경제위기에 한파까지 겹친 상황에서 서민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주고 복지 사각지대가 없도록 취약계층을 든든하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는 소외계층과 사회복지시설, 농어업인을 지원하기 위해 총 264억5000만 원을 긴급 투입한다. 전국 최초로 홀로 사는 노인과 한부모 가정 5만5600가구에 난방비 20만 원을 지원한다. 이들 가구에 지원하는 난방비 총액은 111억 원이다. 또 경로당 9212곳에 난방비 20만 원을 추가 지원하는 데 148억 원을 투입한다. 사회복지시설 등 도내 879곳에도 난방비 5억5000만 원을 지원한다.

전남도는 정부의 가스요금 할인율 확대 발표 이전부터 주택용 소매요금을 최근 3년간 동결해 취약계층과 도민의 난방비 부담을 덜어줬다. 전남도가 처음으로 도입해 전국으로 확산된 농어업인 면세유 구입비용 지원을 2개월 더 연장하고 농어업 전기요금 인상차액 50%도 함께 지원한다. 전남도는 지난해 3월부터 12월까지 19만여 명에게 면세유 구입비용을 다른 자치단체보다 1.6∼2.5배 많은 875억 원 지원해 농어업인의 생산비 절감을 도왔다. 또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부담이 커진 농어업인을 위해 73억 원을 지원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정부 정책의 사각지대를 메울 현장 중심 민생시책을 발굴해 추진하고 중앙정부 시책으로 반영되도록 적극 건의하는 등 도민이 행복한 시대를 실현하기 위해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광주시-전남도#취약계층#난방비 긴급지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