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의 ‘절규’ “中 김치 안쓰면 장사 못해요”…김치 반찬서 빼버린 식당도

  • 뉴스1
  • 입력 2021년 3월 17일 16시 53분


코멘트
웨이보 갈무리
웨이보 갈무리
“중국산 김치가 안 좋은 것 알지만 솔직히 국산 김치 쓴다고 매출 올라가는 것도 아니고 중국산 김치 쓴다고 매출 급감하는 것도 아니다. 식당 주인들도 국산 쓰고 싶지만 비용 생각하면 중국산을 안 쓸 수가 없다”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이 최근 소비자들 사이 퍼진 ‘중국산 김치 포비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산 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있는 것을 알지만 가격에 대한 부담 때문에 국산 김치를 쉽게 쓸 수 없다는 하소연이 대다수다.

17일 외식업중앙회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모여 있는 네이버 카페 ‘아프니까 사장이다’ 등에 따르면 최근 김치 원산지를 확인하는 고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 “중국산 김치를 쓰고 있는데 고객들이 들어왔다가 그냥 나간 적이 많다”는 식당업주의 증언도 이어진다.

중국산 김치 포비아는 최근 중국 김치 공장 영상이 공개되면서 확산됐다. 해당 영상에는 한눈에 봐도 지저분해 보이는 물에 절인 배추가 녹슨 포클레인으로 운반되고 있다. 그 속에는 인부로 보이는 한 중년 남성이 상의를 탈의한 채 들어가 있다. 또 구덩이로 보이는 곳에서 사람들이 무를 절이는 모습도 담겼다.

영상이 퍼진 이후 소비자들은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는 곳은 가지 않겠다는 선언을 하고 있다. 인천에서 직장을 다니는 30대 여성 S씨는 “원래 중국산 김치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 영상을 보니 더 체감이 됐다”며 “이제 음식점을 갈 때 먼저 김치 원산지를 보고 국산을 쓰는 곳을 찾아갈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음식점주들은 국산 김치가 좋은 것을 알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생각하면 ‘울며 겨자먹기’로 중국산 김치를 쓸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부산에서 김치찌개집을 운영하는 K씨는 “중국산 김치가 안 좋은 것을 알지만 비용을 생각하면 국산 김치를 도저히 쓸 수가 없다. 가격이 3~4배 이상 차이가 난다”며 “손님들도 이 사실을 알지만 요즘 대다수의 음식점이 중국산 김치를 쓰다 보니 크게 불만을 표시한 경우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또 이슈가 됐지만 이 문제가 어제오늘 일도 아니고 곧 다시 잠잠해지지 않을까”라며 “안 그래도 코로나 때문에 죽을 맛인데 비용을 생각하면 중국산 김치를 안 쓸 수 없다”고 덧붙였다.

서울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P씨도 “중국산 김치를 쓰는 곳이 매출이 급감하는 곳도 있겠지만 그것 때문에 국산 김치를 쓰자니 그만큼 나가는 비용이 늘어나 특별히 매출상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국산 김치를 쓰기 시작해도 얼마 지나지 않아 비용을 맞추려 중국산 김치를 다시 쓸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전했다.

그는 “코로나로 모든 경제가 바닥이라 대부분 영세 음식점들은 임대료, 전기세, 공과금을 못 내고 있는 상황에서 국산 김치를 쓰기 쉽지 않다”며 “우리도 중국산 김치보다 국산 김치가 좋은 것은 알지만 현실적인 딜레마도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솔직히 국산 김치를 쓴다고 안 오던 손님이 갑자기 증가하는 것도 아니고, 반대로 중국산 김치 쓴다고 손님 발길이 아예 끊기는 것도 아니다”며 “특히 중국산이라고 해도 다 더러운 게 아니다. 일부 업체들은 중국 김치제조 공장에 가서 현장 실사를 거쳐 깔끔한 곳의 제품을 들여오기도 한다”고 중국산 김치를 쓸 수 밖에 없음을 에둘러 표현했다.

이 때문에 일부 식당주인들은 김치납품업체에 중국 공장이 받은 HACCP 인증서 사본을 요구하고 있다. 조금이나마 손님들의 불안함을 덜어주기 위해 인증서를 식당 벽에 게시해 놨다는 설명이다.

다만 일부 업체는 비위생적인 중국산 김치를 피해 직접 담가 사용한다는 곳도 있었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의 한 고깃집 점주는 “우리는 중국산 김치는 도저히 못 쓰겠다고 판단해 몇 년 전부터 직접 담그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손님한테 내놓는 것도 그렇고 우리도 먹는 김치인데 중국산 김치는 못 먹겠더라. 김치 속이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며 “직접 담가 쓰면 중국산 김치를 들여오는 것보다는 분명 비용이 많이 들긴 하지만 배추 가격이 떨어졌을 때 15포기 정도 구매해서 담그면 국산 김치를 사서 쓰는 것보다는 확실히 적은 비용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는 이번 기회에 국산 김치 사용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자는 의견도 나온다. 소비자들이 중국산 김치 대신 국산 김치를 찾고 있는 만큼 가격인상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