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초등학교 ‘1/3 등교’…돌봄 수요 느는데 방역은 ‘비상’

  • 뉴스1
  • 입력 2020년 8월 24일 11시 52분


코멘트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7월8일 서울 서초구 우암초등학교 돌봄교실을 방문해 점검하고 있다. © News1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 7월8일 서울 서초구 우암초등학교 돌봄교실을 방문해 점검하고 있다. © News1
전국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른 등교수업 축소로 2학기 돌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서는 돌봄교실의 방역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오는 26일부터 ‘강화된 밀집도 최소화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는 한 번에 등교하는 인원이 전체의 3분의 2 이내, 유·초·중학교는 전체의 3분의 1 이내로 유지해 밀집도를 낮춰야 한다.

다만 초등학교 돌봄 교실 관련 지침은 달라진 부분이 없어서 학교 방역망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맞벌이 가정이나 저소득층, 다문화 가정, 조손 가정, 한부모 가정 등 학부모의 돌봄 여력이 한계에 부딪히면서 돌봄 수요는 늘고 있지만, 이에 따른 학생 분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돌봄교실당 인원을 20명 이내로 유지하라고 권고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인력 부족으로 이를 지키기가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에서는 지난 10일 기준으로 578개 초등학교에서 1만6000여명이 돌봄교실을 이용했다.

동작구 한 초등학교 교장은 “인원 수를 줄이려면 교육 인력을 늘려 분반을 해야 하는데 예산이 빠듯하다”며 “아이를 맡길 곳이 없다는 학부모들을 뿌리칠 수도 없어서 난감하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돌봄 수요에 대응하면 방역은 어려워지는 반대급부가 있다”며 “방역만 놓고 보면 맞벌이 가정이나 저소득층 가정 중에서도 선별적으로 돌봄을 제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경기도도 사정은 비슷하다. 경기도교육청은 돌봄교실당 인원을 10명 내외로 유지할 것을 당부하고 있지만 이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다. 초등학교 돌봄교실 이용 학생이 3월 초 1만명 수준에서등교수업 시작 이후 3만5000여명으로 급증하면서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에 따라 교실당 17~18명이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25명까지 늘려도 되느냐고 문의하는 곳도 있었다”며 “돌봄전담사가 아닌 교사가 돌봄교실을 맡거나 학부모의 자원봉사로 밀집도를 낮춰 운영하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도 현장의 어려움을 알고 있지만 뾰족한 해결책이 없는 상황이다. 앞서 교육부는 각 시도교육청에 돌봄 수요를 최대한 수용하면서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확보한 예산이나 사업 정비를 통해 확보한 재원을 바탕으로 학교를 지원하라고 안내한 바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반드시 돌봄이 필요한 학생 외에 원격수업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등 추가 수요까지 발생하면서 모두 수용하기에는 현장의 어려움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교육부 다른 관계자는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면서도 방역 관점에서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협의하고 있다”며 “모니터링을 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살피고 인력·예산 지원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