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호흡기 중환자 사망률, 대형병원 38% vs 소형병원 82%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빈자리 없는 중환자실]지역 차이도 커 서울 39%-전남 73%

‘38.1% vs 82.1%.’

인공호흡기를 달고 있던 중환자의 사망률이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차이가 아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가 2011∼2015년 국내 중환자실 이용 환자 115만588명을 분석해 보니 규모가 큰 상급종합(3차)병원과 병상 100개 미만인 1차 병원의 차이가 이랬다. 중간 규모인 종합(2차)병원의 인공호흡 중환자 사망률은 57.6%였다. 경남 밀양시 세종병원처럼 무허가 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은 물론이고 허가 받은 중환자실의 의료 수준도 천차만별이라는 뜻이다.

이는 중환자실 환자만을 진료하는 전담 의료진의 수와 전문성이 병원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대한중환자의학회에 따르면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독감)가 유행했을 때 국내 중환자실 독감 환자의 사망률은 42.6%로 호주(14.3%)나 미국(28.4%)은 물론 멕시코(38.9%)보다도 높았다. 특히 중환자 전문의가 없는 중환자실의 환자 사망률은 48%로, 전문의가 있는 곳(32%)보다 높았다. 간호사 1명이 돌봐야 하는 환자가 2명인 중환자실에선 중증 패혈증 환자의 사망률이 20%였지만 3명을 돌봐야 하는 곳에선 38.8%, 4명인 곳에선 41.7%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중환자실의 수준은 도시에서 멀수록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호흡 중환자의 사망률은 전남(72.9%)과 경북(66.1%), 충북(62.2%) 등 지방과 서울(39%)과 대구(42.4%), 경남(44.9%) 등 대도시 지역의 차이가 컸다. 지방 병원일수록 의료인을 채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적은 인원으로 많은 환자를 보살피다 보니 환자의 생명 유지와 직결되는 집중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례가 생기는 탓이다. 임채만 대한중환자의학회장(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장)은 “세종병원과 같은 무허가 중환자실 실태는 정부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며 “허가된 중환자실부터라도 숙련된 의료 인력을 충분히 둘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대형병원#소형병원#인공호흡기#중환자#사망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