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지역 하구 ‘갯벌 생태지역’으로 만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700㎢ 규모 해양보호구역 지정… 역사·문화·생태 갯벌휴양지로 조성
해안 경관길 2030년까지 단계적 확대

인천 강화군이 국내 갯벌의 14%를 차지하는 강화도 갯벌을 역사와 문화, 생태가 어우러진 해양공원으로 가꾼다. 강화도 해양공원의 모델인 북유럽 바덴해 갯벌 관광명소. 강화군 제공
인천 강화군이 국내 갯벌의 14%를 차지하는 강화도 갯벌을 역사와 문화, 생태가 어우러진 해양공원으로 가꾼다. 강화도 해양공원의 모델인 북유럽 바덴해 갯벌 관광명소. 강화군 제공
인천 강화도와 주변 교동도, 석모도, 볼음도 갯벌은 해양생태계의 보물창고로 일컬어진다. 강화도 해안은 국내 갯벌의 14%를 차지한다. 이곳에는 천연기념물 제205호 저어새가 번식하고 있어 2000년 7월 국내 최대 규모의 문화재보호구역(천연기념물 419호)으로 지정됐다. 절경이 빼어난 해안에는 돈대(墩臺), 진, 보와 같은 국방유적지(요새)도 60여 곳이나 있다.

강화군은 저어새 보호구역인 415km²를 포함한 700km²의 갯벌을 해양보호구역(해양생태공원)으로 지정해 역사·문화·생태 갯벌휴양지로 가꾸기로 했다. 인천시 전체 면적 1026km²의 70%에 육박하는 규모다.

이를 위해 14일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ESCAP) 동북아사무소와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생태환경전문가 80명이 참가하는 ‘해양관리네크워크 세미나’를 시작으로 갯벌생태자원 활용 프로젝트가 본격화된다.

세미나에서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에서 흘러나온 민물이 바닷물과 만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자연 하구갯벌을 형성하고 있는 강화도 갯벌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양한 생물의 서식 실태를 확인한다. 저어새 두루미 잔점박이물범이 살고 있는 갯벌에서 탐조활동도 벌인다.

강화군은 정부 심의를 거쳐 강화갯벌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바닷가를 따라 해안 경관길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현재 전남 순천만을 비롯해 전국 10개 지역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정부는 군사보호구역, 문화재보호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각종 규제에 묶인 강화지역 특성을 감안해 해양보호구역 명칭을 해양생태공원으로 바꾸는 등의 법 개정 작업을 하고 있다. 문경신 강화군 수산녹지과장은 “여러 규제가 중첩된 강화도에서는 개발에 많은 제약이 있다”며 “갈대습지, 염생(鹽生)식물 군락지가 곳곳에 있고 생물종이 풍부한 강화 갯벌의 가치를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강화도 해양생태공원은 북유럽 바덴해 갯벌 관광지를 모델로 삼고 있다. 이상복 강화군수와 실무자들은 지난해 6월 바덴해 갯벌 현장을 방문해 갯벌 걷기, 배를 이용한 갯벌 섬 투어 등을 체험하고 돌아왔다. 강화군 관계자는 “바덴해에서는 갯벌 콘서트, 갯벌 영화제 같은 여러 문화행사가 열리고 있다”며 “윈드서핑 등을 즐길 수 있는 해양레저 명소도 있어 연간 관광객 1000만 명이 찾는다”고 전했다.

강화군은 마니산 자락의 화도면 여차리를 필두로 삼산도, 볼음도에 갯벌생태공원을 조성하기로 했다. 여차리에서는 2005년 개관한 지상 3층의 강화갯벌센터를 중심으로 각종 해양교육 프로그램이 이어지고 있다. 군은 국비 지원을 받아 여차리 갯벌 100만 m² 주변에 박물관, 생태교육관을 짓고 습지생태정원을 꾸미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해안 곳곳에 남아 있는 성벽 형태의 54개 돈대를 역사와 생태가 어우러진 관광 명소로 자리 잡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해양바이오학과가 있는 안양대(강화군 불은면)는 강화군 의뢰로 ‘강화 갯벌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강화군은 갯벌관리 조례를 제정하고 민관합동 갯벌관리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올해 바덴해에서 벤치마킹한 갯벌 걷기 및 초중고교생 대상 갯벌과학교육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갯벌 자연다큐영화제도 열기로 했다.
 
박희제 기자 min0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