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울산에서 열리는 ‘생명의 바다 그림대회’ 장소는 울산 남구 장생포 고래박물관 앞이다. 한국 유일의 고래관광특구로 지정된 ‘한국 고래 문화의 1번지’다. 장생포에는 고래박물관은 물론이고 고래생태체험관과 고래바다여행선, 고래마을, 고래연구소 등이 밀집돼 있다. 고래가 헤엄치는 바다를 보며 그림 그리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고래 포획이 금지되자 장생포는 고래 문화 도시로 탈바꿈했다. 정부는 2008년 장생포 일대 164만 m²를 고래문화특구로 지정했다. 2005년 문을 연 고래박물관에는 길이 12.4m의 고래 뼈 등이 전시돼 있다.
고래생태체험관에는 살아 있는 돌고래 4마리가 대형 수족관에서 ‘쇼’를 펼친다. 관광객은 수족관 유리터널을 거닐며 돌고래가 헤엄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고래와 대왕오징어가 결투하는 4차원(4D) 영상관도 있다. 지난해에는 장생포 고래문화마을도 문을 열었다. 1986년 이전 번창했던 장생포의 옛 모습을 재현한 것. 마을 입구에는 한국계 회색 고래인 일명 귀신고래의 실물 크기 모형(9∼16m)이 세워졌다. 귀신고래는 영화 ‘인디애나 존스’의 실제 인물로 알려진 고고학자 로이 앤드루스 박사(1884∼1960)가 1912년 장생포에서 두 차례 포획한 고래에 붙인 이름.
고래마을은 고래를 부위별로 나누는 해체장과 기름을 짜는 착유장, 고래 음식점인 고래막, 포경선 선장과 포수, 선원의 집, 고래 연구를 위해 머물렀던 앤드루스 박사의 하숙집 등 건물 23채로 꾸며졌다.
국내 유일의 고래 탐사선인 550t급 고래바다여행선(승선 인원 365명)도 이달부터 운항되고 있다. 11월 말까지 매주 고래 탐사 7회, 야경을 감상하며 뷔페 식사를 즐기는 디너크루즈 2회 등 매주 9회 운항된다.
서동욱 울산 남구청장은 “장생포는 한국의 대표 고래 문화 도시”라며 “바다 그림 그리기를 통해 많은 초중고교생이 화가의 꿈을 키워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재락 기자 rak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