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손택균]가미카제 전시 논란은 관객 무지 탓?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3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손택균·문화부
손택균·문화부
“어떻게 보셨습니까?”

10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립미술관 전시실 출구를 빠져나오는 관람객들에게 던진 질문은 간단했다. 한 40대 남성 관객이 답했다.

“이런 걸 서울 한복판에 걸다니 한마디로 미친 짓이죠. 얼핏 반전(反戰) 분위기를 풍기는 듯하지만 결국 일본인 작가가 옛 일제의 만행을 감상적 태도로 회고한 것뿐 아닙니까.”

요지는 이 정도. 차마 글로 옮겨 적기 힘든 거친 욕설이 더 많았다.

이 미술관에서 10일 개막한 ‘미묘한 삼각관계’전에 걸린 일본 작가 고이즈미 메이로의 영상작품 ‘젊은 사무라이의 초상’(2009년)은 일장기 두건을 쓴 젊은이가 가미카제 돌격을 앞두고 부모에게 이별을 고하며 감정이 고양되는 모습을 담았다. 함께 전시된 그의 다른 작품에는 “20세기 초 일본은 대외 침략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다” “나라 위해 목숨 버린 진주만 용사들을 존경한다”는 도쿄 시민의 발언이 담겨 있다.

관람객의 거부 반응과 작품에 대한 논란을 다룬 동아일보 기사가 나간 11일 저녁 미술관 측은 “오보를 막고 정확한 전시 이해를 돕기 위한 추가 설명 자료”라며 각 언론사 미술 담당 기자들에게 e메일을 보냈다. ‘예술을 통한 일본의 과거사 반성’이라는 제목을 단 자료에서 미술관 측은 “이 작품은 반전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영상이다. 마지막 장면에 어머니의 절규를 삽입해 국가 간 전쟁이 개인의 비극으로 치닫는 반전을 보여줬다”고 했다.

개막 전 기자와의 통화에서 미술관 직원은 “논란을 예상했다”고 말했다. 기자간담회 때도 작품의 논쟁적 요소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고이즈미는 “어린 시절부터 외국에서 생활해 일본 사회를 좀 더 객관화된 시선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된 것 같다”고 모호하게 답했다. 그러다 논란이 일자 미술관을 통해 낸 후속 자료에서 “가미카제라는 단어가 영웅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불편하고 위험한 현재 일본 사회의 현실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라고 뒤늦게 해명했다.

이 자료에서 서울시립미술관과 작가는 ‘작품의 반전 메시지를 읽지 못한 반응은 오해’라는 식으로 해석의 방향을 강요했다. 하지만 작품에 대한 해석은 그것을 보는 이의 몫이다. 관람객의 반응이 작가나 전시기획자의 기대와 어긋난다고 해서 이를 예술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한 오해로 치부한다면 그건 그저 ‘전문가의 오만’일 뿐이다.

“고결한 목적을 위해 죽을 수 있어 행복하다”는 가미카제 대원과 그 어머니가 주고받는 애절한 대화를 서울 한복판에서 지켜본 뒤 ‘전쟁의 비참함’에 대해 생각할 한국인 관객. 과연, 몇이나 있을까.

손택균·문화부 sohn@donga.com
#가미카제#서울시립미술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