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지금 떠나요]사색하며 토론하는 ‘대전 문학의 메카’

  • Array
  • 입력 2013년 4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개관 4개월 된 대전문학관

10일 열린 대전문학관에서 막이 오른 ‘작고문인 회고전’ 개막 행사를 방문한 시민들이 전시품을 둘러보고 있다. 대전문학관 제공
10일 열린 대전문학관에서 막이 오른 ‘작고문인 회고전’ 개막 행사를 방문한 시민들이 전시품을 둘러보고 있다. 대전문학관 제공
가끔 2층 문학사랑방에서 들려오는 토론만 아니라면 절간으로 착각할 수도 있다. 도심이지만 한적한 주택가에 자리 잡아 조용하기 때문이다. 건물 뒷산으로 1.5km나 이어지는 산길은 사색이 저절로 깊어질 법한 오솔길이다. 앞마당의 시비(詩碑)에 적힌 금당 이재복의 ‘꽃밭’의 중간 한 구절이 주변 풍경과 참 잘 어울린다. ‘보아라 이 한나절 다사로운 바람결에….’ 신록이 돋아나는 계절에 찾은 ‘대전문학관’의 모습이 그랬다.

○ 활기차게 피어오르는 대전문학


대전문학관은 지난해 12월 동구 용전동에 문을 열었다. 지상 2층, 지하 1층, 야외문학관에 걸쳐 1100m² 규모. ‘토지’의 박경리나 ‘혼불’의 최명희 같은 대문호가 없는 대전에서 과연 문학이란 어떤 의미일까. 문학관을 찾아가면서 내내 이런 의구심이 생겼다. 하지만 문학관을 둘러보면서 대전 문학의 활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전의 문인 모임은 60여 개나 된다. 1951년 발족된 ‘호서문학’은 국내에서 꼽히는 최장수 동인지다. 문학이 작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갑남을녀의 삶의 표현양식이라고 할 때 소수 대문호의 걸작에만 집착할 바는 아니었다.

한밭, 우암, 호연재, 서포, 갑천 등의 이름을 내건 대전의 각종 문화제에서는 문학의 밤과 시화전, 백일장, 시낭송회가 열린다. 박용래, 한성기, 정훈, 대전, 호서 등의 이름을 딴 문학상이 그 열기를 돋운다. 대전 문학의 원류로는 한글창제 학자인 박팽년, 조선후기 4대 문장가인 신흠, 송자(宋子)라 칭송받는 송시열 등을 꼽을 수 있다. 조선 규방문학의 명장인 김호연재는 여성문학의 진수다.

이들의 문학 정기에 힘입어 ‘눈물의 시인’ 박용래, ‘충청시단의 선구’ 정훈, ‘의연한 선비 소설가’ 권선근, ‘둑길의 시인’ 한성기, ‘한국 50년대의 대표작가’ 최상규 등 대전의 대표 문인이 탄생했다. ‘바람의 기록’이라는 제목으로 10일부터 문학관에서 막을 연 ‘작고 문인 회고전’의 이덕영, 이재복, 신정식, 박희선, 김대현, 김동직, 박명용, 김영배, 원종린, 홍희표 등 10인도 대전을 대표하는 문인이다.

문학관 전시실에서 대전 문학의 흐름과 문인들의 발자취를 알아보고 문학 체험 등을 해볼 수 있다. 박헌오 관장은 “대전문학사에 족적을 남긴 작가들의 육필원고와 유품, 작품집 등 200여 점이 전시되고 있다”며 “시인 이재복의 아들인 이동영 우송대 교수가 기증한 육당 최남선의 ‘백두산 근참기’와 ‘108번뇌’ 초판본, 정지용의 ‘산문’ 초판본에 관람객들의 발길이 많이 머문다”고 전했다.

○ 시비, 문학유적, 대청호 500리길…


대전시민이 많이 찾는 보문산 사정공원 한쪽에는 박용래 시인의 ‘저녁눈’이라는 시비가 세워져 있다. ‘늦은 저녁 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 때 오는 눈발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대전에는 이를 포함해 ‘서포 김만중 문학비’(유성구 전민동) 등 18개의 문학비가 있다. 하나씩 찾아가 문인의 발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대전문학의 진수가 한눈에 보인다. ‘단재 신채호 선생 생가’(중구 어남동)와 ‘정훈 시인 옛 가옥’(중구 대흥동) 등은 ‘문학 여행 코스’가 될 수 있다. 문학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송시열 선생을 기념한 ‘우암사적공원’이 있다. 아름다운 호반을 만끽하면서 시 한 수 지어볼 요량이라면 대전시에서 지정한 ‘대청호 500리길’을 추천한다.

문학관에서는 ‘토요일은 문학과 놀자’와 ‘꿈다락 토요 문화’ 등 창작수업을 해볼 수 있는 문화학교가 열린다. 올해 적지 않은 행사가 마련돼 있다. 우선 문학관 운영 주체인 대전문화재단(대표이사 박상언)이 한국문학관협회와 공동으로 이달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행복한 문학생활’을 주제로 ‘제1회 전국문학관대회’를 연다. 연말까지 ‘출향 문인전’ ‘명사 시화전’ ‘원로문인 회고전’ 등의 행사가 이어진다. 042-621-5022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