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6·25 62주년]“카투사 출신 국군포로 올초 탈북 실패… 한-미 정부와 유엔이 송환 노력해달라”

  • 동아일보
  • 입력 2012년 6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인간성회복운동추진協 촉구

6·25전쟁 당시 카투사로 복무하다 납북된 국군포로 A 씨가 북한에 생존해 있다는 사실이 확인돼 사단법인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인추협)가 송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A 씨는 최근 국립대전현충원에 유해가 안장된 이갑수, 김용수 일병과 함께 미 7사단에 복무했다.

인추협 고진광 대표는 24일 “한미 양국 정부와 유엔이 A 씨를 비롯한 국군포로 생존자 송환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인추협은 지난해 6월부터 국군포로 귀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해 현재는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국군포로 생환을 위한 미 정부의 노력을 촉구하는 1인 시위도 계획하고 있다.

국내 민간단체와 활동가들의 도움을 받아 최근까지 탈북을 시도했던 A 씨는 올해 초 북한 접경지역의 경비가 삼엄해지면서 끝내 탈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선영 전 자유선진당 의원은 “카투사로 복무했던 A 씨의 생존 사실이 확인돼 지난해 ‘국군포로 송환 결의안’이 미 의회에서 통과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현재도 약 350명의 국군포로가 북한에 생존해 있는데 정부는 이들을 단 한 차례도 공식 송환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1994년 고 조창호 중위의 생환을 계기로 현재까지 80여 명의 국군포로가 탈북에 성공했지만 이들은 모두 현지 브로커와 국내 민간단체 등을 통한 비공식 루트를 이용했다.

정부 대신 민간단체가 국군포로 송환에 적극 개입하면서 국군포로에 대한 4억∼5억 원 상당의 보상금을 노린 탈북 브로커들이 국내 가족들과 갈등을 빚는 등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박 전 의원은 “국군포로 한 사람을 빼내는 데 많게는 1억 원 정도의 비용이 드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또 “부양이 힘들다는 이유로 국내에 거주하는 가족이 생환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우선은 국군포로를 위한 요양시설을 신속히 건립하고 경제난과 가족 불화에 시달리는 국군포로들이 편안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현국 기자 mc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