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번영시대Ⅰ]“김해 대체할 동남권 관문 공항, 육·해·공 연계 가능 가덕도로”

  • Array
  • 입력 2011년 1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3월 선정 계획 늦춰지면 안된다” 부산지역 한목소리

부산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24시간 공항운영이 가능하고 장애물과 민원이 없어 허브공항 조건을 갖췄다는 것이 부산쪽 주장이다.
부산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24시간 공항운영이 가능하고 장애물과 민원이 없어 허브공항 조건을 갖췄다는 것이 부산쪽 주장이다.
“동남권 신공항 후보지는 정부 약속대로 3월까지 꼭 결정돼야 합니다. 더 이상 정치논리나 정책적 파행이 아닌 공정하고 합리적인 마무리를 바랍니다.”

부산지역 시민단체인 ‘바른 공항건설시민연대’는 10일 긴급성명서를 내고 최대 현안인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이 무산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2008년 신공항 건설이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시작된 영남권 지방자치단체 간 힘겨루기로 후보지 결정이 연기된 데 따른 우려다. 정부는 입지평가위원회에서 입지평가 기준안을 마련해 다음 달 중 공청회를 열고 3월까지는 작업을 마칠 계획이다.

○ 동남권 신공항의 비전

동남권 신공항은 김해공항의 한계 상황을 극복하면서 항만과 공항이 연계된 복합운송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곳에 들어서야 한다는 게 부산지역 항공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안전한 24시간 공항입지를 두고 기존 김해공항보다 못한 내륙에 신공항을 건설할 수 없다는 것. 김해공항 활주로 용량이 2020년경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러 입지선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고, 입지선정이 늦어질수록 지역간 갈등만 더 커질 뿐이라는 지적이다.

신공항은 김해공항의 대체공항이자 동남권 관문 공항, 유사시 인천공항을 대체해 초대형항공기가 24시간 이착륙할 수 있는 허브공항이라는 전제가 있다. 여기에 장애물이 없는 안전한 공항, 소음민원 없는 해안공항, 육·해·공이 연계된 거점공항, 언제나 확장 가능한 경제적 공항이어야 한다는 것이 시민연대 등의 주장이다.

1990년대부터 본격화하고 있는 동북아지역 신공항 건설에서도 ‘답’을 찾을 수 있다. 일본은 오사카(大阪)를 중심으로 한 간사이(關西)권 항공수요에 맞춰 간사이 국제공항을 1994년 개항했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으로 해안을 매립해 최첨단공항을 지었다.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 역시 해안을 매립해 건설했다. 도심에 위치해 안전성이 취약했던 카이탁 공항을 대체한 공항으로 현재는 세계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중국은 2020년까지 100개가 넘는 새 공항과 터미널을 계획하고 있다. 2020년 중국인 해외 여행객 1억 명 시대를 앞두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모습들이다. 동남권 신공항은 이런 항공 수요도 반영해야 한다.

김해공항 활주로 용량이 2020년경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러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고, 입지선정이 늦어질수록 지역간 갈등만 더 커질 뿐이라는 지적이다. 김해공항 대체지역으로 반경 20km 내인 가덕도 해안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김해공항 활주로 용량이 2020년경이면 포화상태에 이르러 ‘동남권 신공항’ 입지선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고, 입지선정이 늦어질수록 지역간 갈등만 더 커질 뿐이라는 지적이다. 김해공항 대체지역으로 반경 20km 내인 가덕도 해안지역이 거론되고 있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 가덕도가 주목받는 이유

가덕도 해안후보지는 기존 항공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김해공항 반경 20km 안에 위치하고 있다. 교통망은 약 3조 원이 투자된 거가대교, 경부선철도와 후보지를 연결하는 신항 배후철도가 개통돼 별도 접근교통망 계획이 필요 없는 지역이다. 부산신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국제산업물류도시 등과 연계해 국가경제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공항입지 선정에서 가장 중요한 장애물이 없는 안전지대는 강점.

항공기 조종사 대부분은 장애물 없는 공항을 선호한다. 부산발전연구원이 국내외 조종사 15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신공항 후보지 선정 시 최우선 고려항목은 장애물(44%), 기상(39%), 항공수요(8%) 순이었다. 인천공항은 김포공항 소음민원이 직접적인 건설배경이었다. 일본은 1977년 나리타(成田)공항 건설 시 소음문제로 사망자 13명이 발생한 이후 모든 신설공항을 해안에 지었다. 공항 접근성은 실질적 공항이용자 수요확보 및 창출차원에서 항공수요 모(母)도시와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이 상식. 접근교통망은 현재 교통망을 포함해 공항 개항 시 도로, 철도, 신교통수단 도입 등 접근성을 보완할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순리. 대구와 가덕도간 통행시간은 경남 밀양 하남에 비해 약 20분정도 더 소요된다. 그러나 장거리 노선 전체 비행시간을 고려할 때 20분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논리. 김효영 부산시 교통국장은 “부산시에서는 지난해 11월 신공항 입지에 대해 국민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토록 하자는 취지에서 ‘대토론회’를 제안했다”며 “신공항은 국가백년대계 차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 일부 밀양주민 반대

경남 밀양농업발전·보존연구회는 신공항의 밀양 하남읍 유치를 반대하고 있다. 이 단체 윤상진 대표는 “조상대대로 내려온 문전옥답 500여만 평이 훼손돼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다”며 “10여 년 공항 건설기간 동안 20여 개 산봉우리를 깎아내야 하는데 소음과 분진은 말할 것도 없고 농작물 피해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항공소음으로 인해 난청과 스트레스, 불안감, 불쾌감에서부터 학생들 학습방해, 근로자들 작업능률 저하, 수면방해, 생리계통 이상 등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회에는 40∼50대 전문농업인 100여 명이 활동하고 있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