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인양]절단면서 ‘금속성 이물질’ 찾는다

  • 동아일보
  • 입력 2010년 4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인양 후엔 ‘증거물’ 확보 주력
침몰지점 반경 500m 수색도

천안함 함미가 15일 침몰 20일 만에 인양되면 민군 합동조사단의 침몰 원인조사 활동은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합조단은 해군 특수전여단 해난구조대(SSU)와 수중파괴대(UDT)의 잠수 수색활동을 통해 원인 규명의 실마리를 쥔 함미 절단면과 함체 아랫부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 왔다. 합조단은 15일 오후 함미가 바지선에 올라오면 즉각 정밀 영상촬영에 나서고, 바지선이 평택 제2함대사령부로 옮기는 도중에도 조사활동을 계속할 계획이다.

합동조사는 선체구조관리, 폭발유형분석, 과학수사 등 3개 분과로 나눠 진행한다. 해군 조사단원들이 선체구조관리팀을 주도하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민간단체 연구원들은 폭발유형분석팀을 구성해 폭발을 일으킨 것이 어뢰인지, 기뢰인지를 가린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국방부 조사본부에서 파견된 요원들은 사망자 시신에 대한 분석 작업을 맡는다.

선체구조관리팀은 함정 표면강도조사, 충격실험 등의 방법을 통해 선체 금속표면의 찢긴 상태를 살피고, 표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금속성 이물질’의 출처를 따지게 된다. 금속재료공학 권위자인 윤덕용 민간 측 공동조사단장이 11일 “파단면과 파편 성분을 분석해 원인 규명에 근접하겠다”고 밝힌 대로 이 팀이 원인 규명의 열쇠를 쥐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천안함이 최초로 폭발된 해저에서 발견한 파편이다. 군 당국은 14일 브리핑에서 “아직 의미 있는 파편을 못 찾았다”고 말했다. 그동안 군 당국은 어뢰 탐지를 위해 50cm 단위까지 금속을 탐지할 수 있는 양양호 등 4대의 탐지함과 함께 정보 수집 목적의 ‘다도해함’까지 투입해 파편을 찾아왔다.

국방부는 15일 이후에는 무인탐사정 ‘해미래호’를 투입한다. 최초 폭발 위치를 중심으로 반경 500m 범위의 바다 밑을 샅샅이 뒤지고, 그래도 미흡할 때는 지역 어민과 협의해 쌍끌이 저인망 어선으로 해저 바닥을 샅샅이 훑을 예정이다. 군 당국은 국방부 신청사 지하 1층에 미국과 호주에서 온 전문가 연락사무소를 마련해 침몰 원인 분석 작업을 지원해 왔다. 이번 주 안에 영국 해군으로부터도 조사단에 합류할 장교 명단을 전달받기로 했다.

그러나 국회에 추천을 의뢰한 민간위원 3인의 선정은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 관계자는 “국회가 야당 추천 인사를 포함한 전문가를 보내준다면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겠지만 아직은 진척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합조단의 활동 시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종료 시까지’라고만 규정하고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조사가 장기화될 수도 있다.

김승련 기자 srkim@donga.com
박민혁 기자 mh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