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옳은지 끝까지 싸울것” “명예위해 다시 심판 받겠다”

  • 입력 2009년 3월 4일 02시 54분


■ “다시 헌소 제기” 밝힌 동의대사건 경찰유족회-부상 경관

부상 경관

“정당한 법집행을 ‘反민주’ 취급해서야

전체 경찰의 일… 헌소땐 당연히 동참”

유족 회장

“사태 전말 정확하게 아는 사람들 침묵

토론회 열어 민주화 운동 여부 가려야”

“동참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저희가 현직에 있는 입장에서 왈가왈부할 처지가 아닙니다. 저희한테 불이익이 올까 봐….”(동의대사건 당시 부상한 A 경찰관)

“그때 그 학생들이 죄를 시인하고 모든 경찰한테 사죄를 했으면 좋겠어요.”(동의대사건 당시 부상한 B 경찰관)

1989년 5·3 동의대 사태 순국 경찰관 유족회와 부상 경찰관들은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의 민주화운동 보상법 개정안이 통과된 후에도 민주화운동 보상심의위원회의 재심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헌법소원을 제기할 계획이다. 하지만 현직 경찰관들은 헌법소원에 참여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다. 현직 경찰관 신분으로 불이익을 받을까 봐 걱정이 되기 때문.

이들은 3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도 이름이나 근무지가 알려지지 않도록 당부했다.

동의대사건 당시 형사기동대 소속이던 A 경찰관은 진압을 나갔다가 깨진 유리 파편에 아킬레스건이 끊어졌다.

그는 “무엇보다 죽은 사람한테 미안하고 가슴이 아프다”며 “죽은 7명의 명예는 어떻게 하느냐”고 울먹였다. 그는 “소신껏 충성을 다한다고 한 건데…. 학생들이 민주열사가 되니까 우리는 민주열사를 진압한 역적이 되어 버렸다”며 “우리는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B 경찰관도 당시 화염병이 터지면서 얼굴, 팔, 허벅지 등 군데군데 화상을 입었다. 그는 “만약 내가 퇴직한다면 언젠가 그 사람들을 상대로 정말로 누가 옳은지 싸움이라도 하고 싶다”며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울음이 나오려고 한다”고 울먹였다.

온몸에 화상을 입은 C 경찰관도 “2002년 헌법소원 당시 부상자들도 헌법소원을 하려고 했는데 위에 있는 청장급 사람들이 ‘그냥 있어라. 우리가 알아서 하겠다’고 해놓고선 아무런 조치 없이 그냥 넘어갔다”며 “잘못된 거는 고쳐야 하는데…”라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그래도 만약에 헌법소원을 낸다면 당연히 다 동참해야 한다”며 “이게 부상자 경찰만의 일이 아니라 전체 경찰의 일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D 경찰관도 화상으로 얼굴 등에 흉터가 남았고 당시 충격으로 장모는 세상을 떠났다. 그는 “저도 젊은 사람이었고 경찰관으로서 정당하게 법 집행을 한 것뿐이다”며 “왜 내가 ‘민주화의 걸림돌’로 취급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동의대 사건의 학생들이 조국 민주화에 기여한 것은 하나도 없다”며 “등록금 문제로 처음에 시위하다가 지나가는 전경을 왜 붙잡았는지 의문이다”고 말했다.

유족회 정유환 회장의 심경도 마찬가지였다. 정 회장은 “부상 경찰관 10명 중 5명은 현직, 2명은 퇴직, 전경 출신이 3명”이라며 “순직 경찰관뿐만 아니라 부상 경찰관들도 8차례나 수술을 하는 큰 화상을 입어 정상적인 생활을 못하는 사람도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는 “개정안을 냈다가 폭행을 당한 전여옥 의원에게 문병을 가고 싶었지만 전 의원이 더 다치게 될까 봐 가보지도 못했다”며 “누구 하나 나서서 말하는 사람도 없고 또 사태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들도 침묵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또 “아직 보상심의위원회 위원들도 노무현 정권 때 임명된 사람들이고 헌법소원을 내더라도 구제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개정안이 통과되면 동의대사건을 민주화운동으로 인정할 수 있을지 토론회라도 열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황형준 기자 constant25@donga.com

신민기 기자 mink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