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 주최 「도시계획 학술회의」…11일∼13일까지

  • 입력 1996년 12월 12일 20시 49분


「尹양섭기자」 저밀도아파트의 고밀개발, 구릉지에 우뚝 솟은 아파트, 만성적인 교통난, 환경오염…. 서울이 안고 있는 문제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난마처럼 얽혀 있는 서울의 도시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한 국제학술회의가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열리고 있다. 서울시립대(총장 金鎭炫·김진현)에서 주최한 이번 회의에는 도시계획 및 개발,경제학 철학 생태학 등 여러분야의 국내외 학자 40명이 참석해 「다시 보는 근대도시―패러다임의 변화인가」라는 주제를 놓고 열띤 토론을 벌였다. 회의에서는 서울을 살 만한 도시로 가꾸기 위해서는 현재의 도시개발 계획의 틀로는 어렵고 시각이 달라져야 한다는데 의견이 일치됐다. 그동안 성장위주의 도시개발은 공해 교통문제 등 각종 문제를 일으켜왔기 때문에 환경부문 또는 삶의 질을 생각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환경 또는 문화부문을 고려한 도시개발은 처음에는 속도가 느리고 답답할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부문에도 도움을 준다는 의견이다. 이를 위해서는 도시를 어떻게 꾸려갈 것인지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보다 많은 시민 등 민간부문이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잠실 등 저밀도지구 개발과 관련, 개발권 이양이라는 독특한 의견이 제시됐다.즉 서울의 어느 지역을 도심으로 고밀개발하고 어느 지역은 저밀개발한다는 기본 계획을 짠 뒤 용적률을 총량규제한다는 것. 그뒤 개발권을 사고 팔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피터 나이캠프 교수(네덜란드 프리대)는 『고밀개발은 그만큼 교통문제 등 사회적 비용을 낳기때문에 비용을 분담시켜야 한다』며 『저밀개발지역 주민들로부터 용적률을 사도록 하면 된다』고 말했다. 예컨대 잠실 등 저밀도 지구 주민들이 고밀개발을 원할 경우 이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므로 개발당사자들에게 도로건설 등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해야 한다는 논지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와 이에 대한 비용을 감수하려는 시민들의 합의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이 국제화 시대에 살아남기위해서는 정보통신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사스키아 사센교수(미국 컬럼비아대)는 『도시재편과 관련해 보면 이들 하이테크 산업은 세계를 상대로 하고 시간을 다투는 특성 때문에 도심에 위치해 있고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제조업은 시외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서울시립대 鄭昌武(정창무)교수는 『서울 영등포 지역의 공장이전지에 정보통신이나 영상산업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