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여당은 내년 3월 발표될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20% 넘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자, 대선에 미칠 악영향을 의식해 이런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내년 보유세가 올해 수준에서 동결돼도 일회성이라는 점이다. 2030년까지 시세의 90%로 아파트 공시가를 끌어올리려는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 작년 대비 최대 2배로 높아진 종부세율 등은 그대로 유지돼 내후년에는 다시 보유세가 폭등할 수밖에 없다.
송영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공시가격 현실화 조치로 사실상 국민의 세 부담이 가중되는 현실은 조금 조정이 필요한 게 아닌가”라고 했다. 현 정부 4년 7개월간 부동산을 사거나, 팔거나, 보유할 때 부과되는 모든 세금을 올리며 “부담되면 집 팔고 이사하라”던 정부 여당이 대선을 79일 앞두고 돌변하는 모습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0.78%였던 국내총생산(GDP) 대비 보유세 부담은 올해 1.22%로 급등했다.
더욱이 여당이 쏟아내는 땜질 대책들은 ‘국토보유세 신설’ ‘보유세 실효세율 1%로 인상’ 등으로 부동산 불로소득을 없애겠다는 이 후보 대선 공약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다. 국민은 헷갈릴 수밖에 없다. 세금 부담 증가가 진심으로 걱정된다면 이 후보와 여당은 부동산정책에 대한 당의 정책기조부터 확실하게 정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