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2001 10대뉴스/국내]說…리스트…'게이트 공화국' 外

입력 2001-12-25 18:31업데이트 2009-09-18 20:31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니화제

▼ 說…리스트…'게이트 공화국' ▼

이용호 정현준 진승현 게이트 재수사로 권력과 부정 부패의 유착이 백일하에 드러났다. 특별검사제가 도입됐고 신광옥 전 법무차관, 김은성 전 국정원 2차장 등이 구속됐다. 온 나라가 ‘게이트’로 떠들썩했다.(사진 왼쪽부터 이용호 진승현 윤태식씨)

▼ 사상최대 규모 언론 세무조사 ▼

올해는 권력과 언론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한 해였다. 언론사에 사상 최대의 조사인원이 투입돼 5056억원의 세금이 추징됐고 정부에 비판적인 유력 신문사 대주주 3명이 구속됐다. 세무조사는 권력의 ‘언론 옥죄기’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 남북관계 냉각…장관회담 진통 ▼

북한이 우리 정부의 대테러 비상경계조치를 이유로 11월 6차 남북장관급회담을 결렬시킴으로써 남북관계가 경색국면에 돌입했다. 평양 ‘8·15 축전’에서 일부 인사들이 친북적 발언을 해 심각한 보혁 갈등을 유발했다.

▼ 김대통령 민주당 총재직 사퇴 ▼

김대중 대통령은 민주당 소장파 의원들의 쇄신 요구에 대해 11월 8일 총재직 사퇴로 응답했다. 현직 대통령이 임기 15개월을 남기고 당 총재직을 버린 것은 처음 있는 일. 9월 임동원 통일부장관 해임을 둘러싼 갈등으로 DJP 공조도 막을 내렸다.

▼ 건보 파탄-공교육 파행…개혁 실종 ▼

공교육이 실종됐다는 원성이 어느 때보다 높았다. 교원정년 문제로 여야간에 한바탕 힘 겨루기가 벌어지기도 했다. 통합 건강보험의 재정 파탄으로 국민의 불신이 높아만 갔다. 현 정권의 각종 개혁 정책이 실종되거나 혼선을 빚었다.

▼ '친구 신드롬' 한국영화 대박행진 ▼

한국 영화 ‘친구’가 820만명의 관객을 동원해 신기록을 세웠다. 이어 ‘신라의 달밤’ ‘엽기적인 그녀’ ‘조폭마누라’ 등이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와 맞선 데 힘입어 한국 영화의 점유율이 46%까지 올랐다.

▼ 수지김 살해은폐 14년만에 드러나 ▼

진실과 인권의 승리. 검찰 수사로 ‘수지 김 살해 은폐 조작’의 진상이 14년 만에 밝혀졌다. 최종길 전 서울대 교수의 의문사 사건도 어느 정도 진상이 드러났다. 국가인권위원회의 발족으로 인권의 수준과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마련됐다.

▼ 정주영씨 타계…현대그룹 해체 ▼

왕회장으로 불렸던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鄭周永)씨가 3월 21일 타계했다. 1915년 강원 통천군에서 빈농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숱한 신화를 창조하며 한국 최고의 기업을 일궜다. 그의 사후 현대그룹은 아들들에 의해 몇 개의 소그룹으로 나뉘어 해체됐다.

▼ IMF졸업…초저금리 시대 개막 ▼

한국은 8월 23일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빌린 돈을 모두 갚아 3년8개월 만에 IMF 관리체제를 졸업했다. 외환보유액은 1000억달러를 넘어서 세계 5위. 정기예금금리가 4%로 떨어지는 초저금리 시대가 맞아 돈이 부동산과 주식으로 옮겨갔다.

▼ "동북아 허브로" 인천공항 개항 ▼

‘단군 이래 최대의 국책사업’이었던 인천국제공항이 착공 8년4개월 만인 3월 29일 문을 열었다. 규모 면에서는 세계 정상급으로 꼽히고 있으나 운영시스템 불안정으로 ‘반쪽 공항’이란 비판도 있었으나 전면 자동화는 아직 안되고 있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