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안 때보다 탈당 3배 넘어…‘당원권 강화’ 속도전

  • 뉴스1
  • 입력 2024년 5월 24일 11시 13분


코멘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스1
더불어민주당이 연일 당원들의 탈당을 만류하고 있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원권 강화’를 띄우며 추미애 경기 하남갑 당선인의 국회의장 낙마 후폭풍을 수습 중이다.

24일 민주당에 따르면 추 당선인의 국회의장 탈락 후 탈당계를 접수한 당원은 2만명을 넘어섰다.

앞서 여야는 지난해 9월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을 재석 295명 중 찬성 149명으로 가결 처리했다. 찬성을 예고한 국민의힘과 정의당 의원 120명을 제외하면, 민주당 의원 29명이 찬성표를 던졌다고 추정됐다.

당원들은 당시 29명을 ‘반란표’로 규정하고 6000명 정도가 집단 탈당했다. 국회의장 후보 선거에 따른 이번 탈당 규모는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 최대치라고 민주당은 보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서둘러 당원권 강화를 꺼내들었다. 이번 탈당 행렬은 당원들의 요구와 다른 예상 밖의 민주당 국회의장 경선 결과로 촉발됐기 때문이다. 국회의장 선거에서 강성 당원들은 ‘강경파’ 추 당선인을 지지했으나, 우원식 의원이 당선되는 이변이 일어났다.

당내에선 당원 민주주의 강화에 대한 상당한 공감대는 형성됐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에서 “지금의 정당 시스템은 리셋돼야 할 시점”이라며 “정보의 평준화 시대가 됐고 당원은 동원의 대상인 시대를 마감하고 당 지도부, 국회의원을 호출하는 시대로 진입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시대적 흐름을 아무도 막을 수 없다”며 “탈당자가 2만명이 넘었다. 아픈 만큼 성숙해진다고 했다. 우리 당은 탈당 처리를 보류하고 탈당 철회를 기다리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방법론엔 차이가 있다.

일단 친명(친이재명)계는 원내 선거 때 당원에게 투표를 주는 방식을 제안했다. 당원 의견 반영 비율만 다르다. △김민석 의원 10% △장경태 최고위원 20% △양문석 경기 안산갑 당선인 50%까지 다양하다.

중진을 중심으로는 표심 반영이 아닌 소통 창구 마련을 밀고 있다. 우상호 의원은 MBC 라디오를 통해 “어떤 선거에 (당원 표심을) 몇 퍼센트를 더 반영한다는 식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 상시적으로 당원들의 의견이 수렴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직접 당원권 확대를 공언하며 당심을 달래고 있다.

이 대표는 “함께 힘을 모아 당원중심 대중정당, 민주주의 혁신의 새 길을 열어가자”며 “당을 떠나겠다는 말을 어느 때보다 무겁게 듣고 있다. 탈당자 총수가 2만명을 넘는 것도 문제지만 탈당자 중 백전노장이 많아 당혹스럽다”며 탈당 당원들에게 온라인 편지를 보냈다.

이 대표는 전날 오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당원주권시대 콘퍼런스에서 “당원 중심의 대중정당으로 많은 국민이 직접 참여해서 행동하고 실천하는 대중 정당의 길로 가기 위해서는 당원의 권한과 역할, 지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