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2030년대 중후반까지 국산 전투기용 터보팬 엔진 개발”

  • 뉴스1
  • 입력 2023년 12월 26일 14시 05분


코멘트
국산 전투기 KF-21 ‘보라매’. 2023.10.17/뉴스1
국산 전투기 KF-21 ‘보라매’. 2023.10.17/뉴스1

정부가 항공무기체계 기술자립과 시장 확대, 관련 산업 발전 견인을 위해 국산 항공엔진 개념연구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방위사업청은 2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첨단 항공엔진 개념연구 계획 발표 및 항공엔진 관련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방사청에 따르면 이날 간담회 1부에선 정부·소요군 및 항공엔진분야 전문가들이 개념연구 추진계획에 대한 토의를 진행했다. 또 2부 기업 간담회에선 첨단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정부 계획을 소개하고 업계의 발전 방향에 관해 토의했다.

방사청은 오는 2030년대 중후반까지 국산 전투기에 적용 가능한 1만5000파운드힘(lbf)급 터보팬 엔진 개발을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방사청은 “이를 위해선 막대한 예산과 장기간의 개발 기간이 필요하다”며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사업추진 계획을 면밀히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중심으로 항공엔진 개발을 위한 설계 및 소개 공정, 부품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 관련 업체에선 면허생산 등으로 항공기용 가스터빈 엔진 일부 부품 제작 기술을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독자적으로 항공엔진을 설계·제작할 수 있는 기술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게 방사청의 설명이다.

방사청은 “항공기 엔진과 핵심부품을 해외 제조사에 의존할 경우 독자적인 성능 개량이 어려울뿐더러 향후 개발 항공무기체계의 방산 수출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무인기용 엔진의 경우 다자·양자 수출통제가 적용되므로 그 제약이 더 커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방사청은 “항공 엔진 전문 인력과 인프라가 모두 부족하지만 국가 역량을 총결집해 더 늦기 전에 개발을 시작해야 한다”며 “이번 개념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사업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관계부처들과의 협력을 통해 첨단 항공엔진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끌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