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득권 버릴 것”→‘페북 사퇴’→잠행 3일째…김기현 어디로

  • 뉴스1
  • 입력 2023년 12월 14일 17시 31분


코멘트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대표실 문이 굳게 닫혀 있다. 2023.12.13 뉴스1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대표실 문이 굳게 닫혀 있다. 2023.12.13 뉴스1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가 14일로 사흘째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김 전 대표는 이날도 국회에 출근하지 않았고, 휴대폰 전원도 꺼진 상태다.

친윤(윤석열) 핵심 장제원 의원의 총선 불출마 선언 후 거취 문제를 놓고 잠행에 들어갔던 김 전 대표는 전날(13일) 오후 페이스북에 “더이상 저의 거취 문제로 당이 분열되어서는 안 된다”고 대표직 사퇴 입장문을 올렸다.

김 전 대표의 마지막 공개 일정은 지난 11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였다. 그는 당시 회의에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사즉생 각오로 민생 경제를 살리라는 국민 목소리에 답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당초 12일 지도부와 함께 구룡마을 연탄 나눔 봉사활동에 참여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을 전격 취소한 채 주변과 연락을 끊고 장고에 들어갔다.

잠행 중이던 김 전 대표는 13일 오전에는 모처에서 이준석 전 대표와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이상민 무소속 의원을 잇달아 만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다 이 전 대표가 오후 4시30분 유튜브를 통해 김 전 대표와 회동했다는 사실을 공개하자, 김 전 대표는 약 30분 만에 페이스북을 통해 사의를 밝혔다.

이 전 대표와의 만남이 당 대표직 사퇴 후 이 전 대표의 신당에 입당할 수 있다고 해석될 것을 우려한 김 전 대표가 거취 결단 시점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의 거취에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그의 향후 행보 때문이다. 그는 총선 불출마와 지역구인 울산 남구을 재출마 등 2가지 선택지 중 고민하고 있으며, 울산에서 5선에 도전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대표가 페이스북에 대표직 사퇴만 밝히고, 지역구 출마나 불출마 등 향후 행보에 대해선 일절 언급하지 않은 것도 이러한 분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지역 정가에선 김 전 대표가 내년 총선에서 울산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 유권자 시민연대도 전날 기자회견을 열어 “지역을 떠나는 것은 고향을 버리는 것”이라며 김 전 대표의 울산 남구을 출마를 요구했다.

당내에선 당대표직 사퇴 후 보수 텃밭 울산 남구에 출마하는 건 ‘희생’ ‘쇄신’에 역행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반면, 이젠 김 전 대표의 거취는 ‘김기현 개인’이 판단할 문제라며 김 전 대표에게 출구전략을 열어줘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하태경 의원은 전날 SBS라디오에서 “김 전 대표가 부울경 지역에서는 영향이 아주 크다”며 “낙동강벨트 선거를 책임지고 지휘하는 역할은 김 전 대표가 상당히 가장 적절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