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대·공천룰 개정에…비명계 “이 대표 말하는 국민 누군가” 반발

  • 뉴스1
  • 입력 2023년 12월 7일 15시 30분


코멘트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원칙과 상식 민심소통 3. 안병진 교수에게 듣는다’에서 안병진 교수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2023.12.3 뉴스1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원칙과 상식 민심소통 3. 안병진 교수에게 듣는다’에서 안병진 교수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2023.12.3 뉴스1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7일 당 중앙위원회의를 통해 권리당원의 의결권을 강화하는 전당대회 룰 개정과 총선경선에서의 현역의원 페널티 강화 등을 골자로 하는 당헌 개정을 추진하는 데 대해 비명(비이재명)계가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당은 이날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중앙위원회의를 열고 상정된 당헌 개정안 안건 표결에 앞서 개정안에 대한 토론을 진행했다. 민주당 중앙위는 이날 이같은 당헌 개정의 건을 찬성 67.55%, 반대 32.45%로 가결했다.

이번 당헌 개정안에는 현역의원 평가 하위 10%에 포함된 의원들에 대한 감산 비율을 현행 20%에서 30%로 높이고, 전당대회 투표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 비중을 현행 60대 1에서 20대 1 미만으로 줄이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재명 대표는 투표 돌입에 앞서 “당원들의 의사가 당에 많이 반영되는 민주정당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판단했다”며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표의 등가성을 보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당헌 개정을 시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반대 토론에 나선 이원욱 의원은 “직접민주주의가 정치 권력과 결합할 때, 포퓰리즘과 정치 권력이 일치화할 때 독재권력이 된다는 것을 최근에도 봤다”며 “나치와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와 태극기 부대와의 결합이다. 결국 총선에 패배했는데 우리가 가려는 꼴은 바로 그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객석에 있던 일부 중앙위원들은 “말씀을 그렇게 하시는가”라고 반발했다.

이 의원은 “이재명 대표가 말하는 국민 눈높이라는 게, 그 국민이 과연 누구인지 굉장히 의심스럽다”며 “중앙위는 왜 투표만 하는가. 안을 통과시키기 위한 꼼수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제발 민주당 지도부는 꼼수 정당의 길을 탈피해주십사 부탁드린다”며 “중앙위원들이 이번엔 과감히 부결표를 던질 것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박용진 의원은 현역 의원 평가 문제와 관련해 “유불리 문제가 아니라 국민과 약속한 시스템 공천의 핵심을 바꿔선 안 된다. 다음 지선 때 상황논리에 맞추고 지도부 해석에 맞춰서 시급하게, 선거 몇 달 앞두고 다시 변경시킬지 어떻게 아느냐”며 “당이 편의주의로 가면 당헌은 누더기가 된다”고 지적했다.

설훈 의원도 “고쳤을 때 생기는 불협화음과 문제점보다 잘 돼 있는 내용을 지속적으로 하는 게 낫다”며 “시스템 공천에 대해선 손을 안 대는 게 당의 분열을 막고 단합해 나갈 수 있는 지혜”라고 강조했다.

윤영찬 의원은 “우리 당 분위기는 대의제는 악이고 직접민주제와 1인 1표제가 선인 것처럼 오해하는 것 같다”며 “그렇다면 모든 국가가 직접 민주주의를 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영표 의원은 “김은경 혁신위의 1호 (혁신안이) 무엇이었나. 불체포특권 포기였다”며 “이재명 대표는 그렇게 했느냐”며 이 대표를 직격했다. 또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살아있는 권력 윤석열 대통령에게 대들면서 싸우는 것 보시라”며 “우리 당에선 비합리적이고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되는 일들을 (지적하는) 말하면 어떤 대우를 받느냐”고 강성 친명(친이재명)계를 겨냥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