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北 정찰위성 발사 관련 특이동향 아직 없어”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17일 11시 09분


코멘트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11.17 뉴스1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이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관련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3.11.17 뉴스1
통일부는 17일 현재까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한 특이 동향은 없다고 밝혔다.

김인애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북한의 주요 시설, 지역에 대한 동향을 면밀히 추적·감시하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김 부대변인은 “향후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가능성에 대해 예단하지 않고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나가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북한은 앞서 5월31일과 8월24일 등 2차례에 걸쳐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소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탑재했다는 ‘천리마 1형’ 로켓을 발사했으나 위성체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모두 실패했다. 이후 북한은 ‘10월 재발사’를 예고했지만 아직까지 실행에 옮기지는 않은 상태다.

북한은 또 국제해사기구(IMO)와 일본 해상보안청 등에도 발사 기간을 사전 예고하지 않았다. 북한은 앞서 5·8월 위성 발사 시도 때는 일정을 통보하는 방식으로 사전 예고를 해왔던 만큼, 관계 당국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에도 ‘국제 관례’는 지킬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김 부대변인은 “북한은 지난 1998년 8월31일, 2006년 7월5일 두 차례 국제기구에 발사계획을 통보하지 않고 (우주발사체 및 위성을) 발사한 사례가 있으나 그 이후 200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IMO 등 국제기구에 발사계획을 사전 통보한 후 소위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