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연금개혁 미루면 제2의 그리스 될 수 있어…서둘러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10월 27일 15시 06분


코멘트

정부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 우려 표해
"그리스보다 연금 재정 심각…상황 제대로 밝혀야"
"다양한 노후 소득 정책 검토…특수직역연금 개혁"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27일 국민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수급개시연령 등 모수개혁 핵심 사안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한 정부를 향해 “연금개혁 미루면 제2의 그리스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금 당장 연금 수급 세대가 고통스럽더라도 젊은 세대와 미래세대가 국민연금이라는 좋은 제도의 혜택을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제대로 된 개혁을 서둘러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국민연금 가입자에게 지급 약속한 예산 연금액이 2023년 말 기준 2825조원이다. 적립된 기금 1000조원을 뺀 미적립 부채는 1825조원으로, 올해 예상 국내총생산(GDP) 대비 80%를 넘는다”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출생률, 가장 빠른 속도로 노인 인구가 늘어나는 대한민국은 이미 연금개혁의 골든타임이 지난 셈”이라고 우려했다.

안 의원은 “연금개혁이 불발되면 미래세대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될 것”이라며 “우리 사회 구성원들 모두가 고통스럽더라도 우리보다 앞서 개혁을 시행했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연금개혁에서 교훈을 찾아 진정한 의미에서 공적연금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특히 “그리스는 경제·재정 위기로 외부의 손에 의해 연금개혁이 이뤄지면서 고액 수급자 연금이 한순간에 50% 깎이기도 했다”며 “우리나라 연금 재정 상황은 그리스보다 더 심각하다. 우리도 이대로 가다가는 그리스처럼 되지 말라는 보장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연금개혁에서 가장 먼저 할 일은 국민연금이 처한 상황에 대해 가감없이, 숨김없이 제대로 밝히는 것”이라며 “제대로 된 연금개혁 방향을 제시하여 사회적 대화에 나서야 할 때”라고 제안했다.

이어 “59세로 묶여있는 국민연금 보험료 의무납입연령을 단계적으로, 장기적으로 65세까지 올리는 일”이라며 “은퇴 시점과 연금 수급 시점 사이 갭을 없애기 위해 대통령 소속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고민하고 있는 초고령사회에서 계속 고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후소득 정책 수단을 검토하고 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국민연금 순으로 개혁이 시급하다”며 “국민연금에 위기가 닥쳐오는데 특수직역연금에 계속 세금으로 적자를 메우는 것은 결국 국민적인 공감을 얻지 못하고 국민 간 첨예한 갈등이 일어날 소지가 다분하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주저할 시간이 없다. 대한민국을 살리기 위해 연금개혁은 더 이상 선택사항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국민연금심의위원회에서 심의·확정한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은 보험료율(내는 돈)과 소득대체율(받는 돈), 수급개시연령(받는 나이) 등 모수개혁 핵심 사안에 대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큰 방향만 제시하기로 했다.

대신 정부는 국민연금 ‘지급 보장’을 명문화하고, 보험료율 세대별 차등조정에 출산·군복무 크레딧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또 해외투자 비중을 60%까지 늘려 기금운용수익률을 1%포인트 끌어올릴 방침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