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홍범도 등 육사 흉상 철거 논란에 “‘독립운동 흔적 지우기’ 개탄”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6일 01시 07분


코멘트
지난 2018년 제99주년 ‘3·1절’을 맞아 열린 육군사관학교의 ‘독립전쟁 영웅’ 흉상 제막식. (육군사관학교 제공) 2018.3.1/뉴스1
지난 2018년 제99주년 ‘3·1절’을 맞아 열린 육군사관학교의 ‘독립전쟁 영웅’ 흉상 제막식. (육군사관학교 제공) 2018.3.1/뉴스1
독립유공자 후손 단체 광복회가 최근 육군사관학교 내에 설치돼 있는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 및 이회영 선생 흉상을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데 대해 “개탄스럽고 매우 우려된다”고 25일 밝혔다.

이종찬 광복회장은 이날 성명에서 “합당한 이유 없이 대한민국 자주국방 요람 육사 교정을 늠름히 지키고 있는 5인의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를 시도하는 건 일제가 민족정기를 들어내려고 했던 시도와 다르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회장은 일제강점기 만주에 있었던 광복군 양성학교 ‘신흥무관학교’ 설립자인 우당 이회영 선생의 손자다.

이 회장은 △흉상 철거 계획 백지화와 △책임자 엄중 문책을 요구하면서 “흉상 철거를 시도한 주체와 배후 인물들, 그리고 철거 시도 이유·배경에 대해서도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여야 정치권을 떠나 이번 (흉상) 철거 시도 행보는 국군의 역사를 왜곡하려는 의도가 아닌가 하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며 “우리 독립유공자와 후손들에게 독립운동가에 대한 모멸감을 심는 행위로 심히 유감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 회장은 “이번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시도가 최근 일련의 독립운동 역사를 폄훼하는 반(反)헌법적 행태와도 무관치 않은 일로 본다. ‘독립운동 흔적 지우기’로 인식한다”며 “육사 교정 내 흉상 철거 시도 행위에 대한 정부 측의 분명한 해명,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을 예의주시하며 향후 행보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육사는 현재 교내 기념물 재정비 차원에서 충무관 중앙현관 앞에서 설치돼 있는 홍 장군 등 독립운동가들의 흉상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들 흉상은 지난 2018년 ‘3·1절’ 제99주년을 맞아 우리 군 장병들이 사용한 5.56㎜ 소총 5만발 분량의 탄피 300㎏을 녹여서 만든 것이다.

당시 육사는 “총과 실탄을 제대로 지급받지 못했음에도 봉오동·청산리 대첩 등 만주벌판에서 일본군을 대파하며 조국독립의 불씨를 타오르게 한 선배 전우들의 정신을 기리기 위해” 이들 흉상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육사의 홍 장군 등 흉상 이전 논읭 대해 “작년부터 검토됐던 것으로 안다”며 “독립운동을 부정하는 게 아니라, 가능하면 육군·육사의 창설, 군과 관련한 역사적 인물을 기리는 방안이 좋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보훈부는 ‘보훈부가 흉상 철거를 지시했다’는 일부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