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안보실장, 북한 ‘정찰위성’ 재발사 관련 NSC상임위 소집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24일 06시 30분


코멘트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의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4.13/뉴스1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이 13일 용산 대통령실 국가위기관리센터에서 북한의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4.13/뉴스1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24일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 목적으로 보이는 우주 발사체를 발사하자 즉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소집하고 대응에 나섰다.

대통령실은 이날 오전 6시부터 조 실장 주재로 NSC상임위가 소집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정찰위성 목적의 우주발사체를 쏘아 올린 것은 지난 5월31일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우리 군은 이날 오전 3시50분쯤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된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다. 이 발사체는 남해 이어도 서쪽 공해 상공을 통과해 비행했다.

이번에도 북한은 5월 말 위성 발사 시도 때처럼 ‘발사 예고기간’ 첫날 발사를 감행했다. 앞서 북한 당국은 ‘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 위성용 로켓을 발사하겠다’고 일본 해상보안청에 통보했다.

북한의 이날 위성 발사는 올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21~31일)에 대한 반발 성격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 군은 북한의 이날 우주발사체 발사가 앞서 5월에 실패한 정찰위성 발사를 재차 시도한 것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분석, 3개월 만의 재발사도 실패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은 “우리 군은 북한 주장 우주발사체 발사 징후를 사전에 식별해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었으며, 발사 시 즉각 포착해 지속 추적·감시했고, 실패로 평가한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