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이동관 자녀 학폭 의혹 두고 공방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8일 14시 24분


코멘트

여당 “아들, 피해자와 화해했다” 방어
민주당 “이 후보자가 압력 행사했다”
민주당 고민정 “국정원 문건 본 적 있느냐”
이동관 “언론 보도 통해 알았고 그전에 몰랐다”

여야는 18일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의 아들 학교 폭력과 언론 장악 의혹을 놓고 충돌했다. 이 후보자와 국민의힘은 자녀 학교 문제에 대해 “화해했다”고 주장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이 후보자가 압력을 행사했다”고 주장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오전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서동용 민주당 의원은 “이 후보자는 아들 학교 폭력 의혹을 거짓으로 해명했다가 들통나며 말을 바꿨다”고 비판했다.

서 의원은 이 후보자 아들이 고등학교 시절 학교폭력 의혹과 관련해 당시 피해자들이 쓴 진술서로 추정되는 문서를 공개했다.

이 후보자는 “제가 알고 있기로는 돈 갈취나 휴대전화를 뺏었다는건 사실이 아닌 걸로 안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의 거짓말 가능성’ 질문에 “(아들에게) 열 차례 물어봤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당시 진술서를 받은 교사들은 사실이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CCTV도 없고 아무도 그 현장을 본 사람이 없다”며 “결국 피해를 입었다는 주장하는 학생의 진술이 가장 중요한데 쓴 학생이 아는대로 쓰라고 해서 다른 사례도 썼다고 한다. 본인도 가해한 건 기록을 안했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학생들이 나중에 진술서에 서명 날인 하라고 했더니 거부했다”며 “그런데 이게 어떻게 공식 진술서이냐. 그냥 아는대로 쓰라고 해서 쓴거라고 본다”고 말했다.

장경태 민주당 의원은 ‘폭력 사실에 대해 인정하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뭐 일부 있었겠죠. 그러나 그 내용을 제가 어떻게 확인하냐”고 답했다.

장 의원은 이어 “정순신 때도 그랬듯 학교폭력만으로도 저는 고위공직자 자격 박탈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동관 후보자 아들 학교폭력 사건만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를 안 열었다는 기사가 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아들은 지금 전혀 반성의 기미도 없고 가해 사실이 없다고 하는 거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본인도 아주 진지하게 반성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당시 학생이 쓴 입장문에 쌍방간 다툼이라고 나와있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쌍방간 다툼이 있고 잘못이 없는데 왜 전학을 갔느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저희도 갑자기 통보를 받고 이런 사실이 있으니 전학가는 게 좋겠다고 해서 받아들였다”며 “저도 어떤 경위로 전학을 가게 됐는지 모르지만 담임 선생님이 아내를 불러 지금 전학을 가야겠다고 말해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선도위원회 결정으로 전학을 간 과정은 모른다”며 “다만 2015년 청문회에 이태준 교장선생님이 나와서 선도위 결정으로 담임 선생님에게 맡기기로 했다고 증언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승유 하나고 이사장에게 전화를 해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에 대해 “제가 기자시절인 1990년대 초반 국회 재무위원회를 출입해 그 분을 알았는데 유일하게 아는 분이라 어떻게 된 거냐고 물어본 것”이라고 말했다.

강득구 민주당 의원은 “이 후보자가 아들 학교폭력 문제를 거짓말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면서 어떻게 이런 사람이 방통위원장에 지명됐느냐”며 “괴벨스보다 더 걱정되고 국민의 입장에서는 참혹한 지명자”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자는 “의원님의 비판 겸허하게 받아 들이겠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 후보자 방어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당시 문제를 제기한 하나고 내부 교사가 사건과 관련이 없고 당시 외부 활동으로 징계를 받을 위기에 처하자 이동관 후보자의 자녀 학교 폭력 의혹을 폭로했다고 봤다.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은 2011년 발생한 학내 폭력 사건에 대해 학폭위 등 없이 전학만 갔다고 주장한다”며 “하지만 그 때 교과부의 학교폭력 사안 대응 기본 지침에 따르면 가해 학생이 즉시 잘못을 인정하고 화해를 요청해 피해학생이 화해를 받아들일 경우 담임교사가 자체 해결할 수 있는 사안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하나고는 학교폭력에 관해서 엄정한 교육부의 지침대로 조치를 한 건데 당시 하나고의 조치가 매우 현명했다고 생각든다”며 “학생 분리를 하고 화해를 고려해 과도하게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당시 하나고가 현명한 조치를 한 게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사건이 왜 2015년에 불거졌는지를 보면 전모교사가 당시 인권위원회에 진정을 넣으면서 시작됐다”며 “이 사건과 관련 없는 사람 아니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전혀 관계없는 분”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은 “전 교사는 본인이 내부고발자 행세를 하고 이후 서울시 감사장에 가서 증인으로 출석하고 발언했다”며 “전 교사는 근무시간에 무단으로 나가 외부 강연을 하는 문제로 학교에서 징계절차가 이뤄지고 있었다. 축적된 정 교사의 비위 등으로 인해서 학교에서 징계를 추진하자 내부고발자 행세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당시 피해자라고 했던 학생은 언론에 나와 ‘진술서 내용이 과장되거나 일방적인 왜곡이 많다, 일방적 괴롭힘도 아니었다’고 말했다”며 “그런데도 정 교사는 문제를 계속 키웠다”고 강조했다.

홍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당시에 자제분과 충돌이 있었다는 학생들이 화해를 했기 때문에 2011년도엔 문제가 없었고, 학교 자체적으로 종결을 했다”며 “그리고 자녀분이 단대부고로 강제전학을 가려고 하니 당시 학생들이 친구의 전학을 강력하게 반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그렇게 알고 있다”며 “민주당 의원님들 자료에도 잠시 나왔던 1학년 담임선생님도 인터뷰에서 (전학을) 반대했다는 이야기를 조금 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학생들이) 2번이나 담임선생님과 교장 선생님을 찾아가서 (전학은) 우리가 원하는 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며 “자기들끼리 화해하고 끝났는데 왜 전학을 보내느냐고 읍소했다고 한다. 이건 다 2015년에 증인으로 나온 선생님들이 증언하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자는 문제를 제기한 전 교사에 대해 “사실은 2015년에 문제가 뒤늦게 불거졌다”며 “그런데 그 당시에 그 사안을 제기했던 분이 바로 요새 언론에도 많이 나오시는 전 모라고 하는 교사인데 학교에서는 이미 다 끝난 사안이었다고 한다. 나중에 상담교사였던 유모 선생님은 단식까지 하며 ‘의혹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했다.

민주당은 이 후보자에게 ‘국정원 문건’을 거론하며 언론장악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해당 문건은 이 후보자가 이명박 정부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국정원이 언론 장악을 위해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는 문건이다.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국정원 문건을 알고 있느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모른다”며 “언론을 통해 그런 보도가 나온 걸 봤을 뿐”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존경하는 고민정 의원님도 청와대 대변인을 해보셔서 알지만 저는 당시 대변인에 홍보수석 역할도 겸하고 있어서 사무실에 앉아 있었던 때가 없었다”며 “제가 국정원에서 보고하는 걸 어떻게 알아겠느냐”고 설명했다.

고 의원은 “그럼 무슨일을 하셨느냐”며 “밖에서 기자들만 만났느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대통령 회의에 배석하고 중요 일정하고 브리핑하는 일들이 얼마나 격무인지 아시지 않느냐”며 “정말 중요한 사안이 있으면 대통령을 하루에 몇번 만나 직보를 했지, 보고서를 가지고 보고한 일이 거의 없다”고 답했다.

고 의원은 “이 자료를 보시라”며 “이 문건은 ‘라디오 시사 프로 편파방송 실태 및 고려사항’에 대한 것인데 위에 보시면 홍보수석 요청자료라고 적혀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자는 “당시 상주하고 있던 국정원 직원이 수시로 각 수석실을 다니며 뭐가 필요한지를 수집을 했다”며 “나중에 홍보수석실에도 누구 한 명이 와 있다는 걸 나중에 알았지 당시에는 몰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니터 보고서 수준의 것이 아닐까한다”며 “좌우간 저는 보고하거나 지시한 일이 없다”고 말했다.

민형배 민주당 의원은 “곳곳에서 보도되는 언론 장악문건을 지시한 적도 없고 보고받은 적도 없느냐”고 물었다.

이 후보자는 “제가 지시하거나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