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희 혁신위원 “대의원제 폐지 아닌 재조정…당원이 당대표 뽑아야”

  • 뉴시스
  • 입력 2023년 8월 11일 09시 41분


코멘트

사당화 우려에 "당원들 폄하하는 것"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은 11일 혁신위가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를 제안한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 “폐지가 아니라 대의원 구성과 역할을 재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혁신위원은 이날 오전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와 관련된 질의에 “대통령도 국민 손으로 뽑는데 당대표를 당원 손으로 못 뽑는다고 하면 당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예전에는 선거가 굉장히 어려웠기 때문에 대의원 선거가 의미가 있었지만 지금은 굉장히 기술이 발달했다”며 “온라인 투표도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당대표를 당원들 손으로 뽑는 것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고 또 민주적인 제도라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전날 혁신위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권리당원 투표 70%와 국민여론조사 30%로 선출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기존 대의원 투표를 배제하자는 것으로 사실상 대의원제 폐지와 다름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나아가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인 개딸의 입김이 지금보다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소위 ‘사당화’ 우려도 나온다.

이에 김 혁신위원은 “200만명 당원들의 의사가 모여져서 어떤 분이 당대표가 된다면 그것은 당원들의 민주적인 결정 과정을 거친 것”이라며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분들은 당원들을 폄하하는 게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가 물러나지 않는 한 1년 뒤에나 전당대회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대의원제 폐지를 논의하기에는 시기상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김 혁신위원은 “제도에 비민주적인 지점이 있으면 그것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내놓는 것은 시기의 문제는 아니다”며 “지금부터 준비가 들어가도 내년 8월 전당대회까지 관련 절차들이 마무리되려면 시간이 적지 않게 걸리기 때문에 결코 빠른 제안은 아닌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표한 혁신안에 ‘3선 이상 동일 지역구 출마 금지’와 관련된 내용이 빠진 것에 대해서는 “여러 국가 중에 선수를 기준으로 제한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한 국가는 없었다”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답했다.

이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너무 노예화됐다”며 “청년 정치인이나 신진 정치인들이 더 많이 진출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국민들이나 당원들이나 요구가 굉장히 높았기 때문에 용퇴를 권고하는 정도로 마무리했다”고 부연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