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혁신위, 노인비하 논란에 “1인1표 부인한 바 없어”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31일 19시 12분


코멘트

발언 전문 공개하며 해명

더불어민주당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지난 30일 진행한 청년좌담회에서의 발언으로 ‘노인비하’ 논란이 빚어진 것에 대해 31일 반박 입장을 내놓았다.

앞서 김 위원장은 서울 성동구 카페에서 청년 좌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자녀가 ‘왜 나이 든 사람이 (젊은 층의) 미래를 결정하느냐’는 이야기를 한 적 있다고 밝히면서 “왜 미래가 짧은 분이 일대일로 표결해야 하나”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민의힘은 ‘충격적인 노인 비하 발언’이라고 반발했다.

혁신위는 이러한 지적에 대해 “김은경 위원장은 아들이 중학생 시절 낸 아이디어를 소개하며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인 1표’라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발언 전문을 봐도 민주주의 국가에선 이런 아이디어가 수용될 수 없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고 강조했다.

혁신위 측은 “우리 정치는 세대 간, 지역 간, 계급 간 불균형을 조정하고 과소 대표되고 있는 주체들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며 “이런 논의를 위해 예시로 꺼낸 중학생의 아이디어를 왜곡해 발언의 취지를 어르신 폄하로 몰아가는 것은 사안을 정쟁적으로 바라보는 구태적인 프레임이자 전형적인 갈라치기 수법”이라고 주장했다.

혁신위가 공개한 김 위원장 발언을 살펴보면 김 위원장은 ‘둘째 아이 22살 된 지 얼마 안 된 아이인데, 중학교 1학년인지, 2학년인지 저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왜 나이 드신 분들이 우리 미래를 결정해? 그러는 거다. 자기가 생각할 때는 평균 여명을 얼마라고 봤을 때 자기 나이부터 여명까지, 엄마 나이로 여명까지 해서 비례적으로 투표를 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그 말은 합리적이다. 그런데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이기 때문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지만 (문제를 제기한) 그게 참 맞는 말이다. 아들은 우리 미래가 훨씬 긴데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똑같이 일대일 표결을 하냐는 거다. (그래서 아들에게) 되게 합리적이지만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 선거권이 있으니까 그럴 수 없는 것이라고 이야기를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래서 투표장에 청년들이, 젊은 분들이 나와야 의사가 표시된다고 결론을 내린 기억이 난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