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왕이, 7개월 만에 외교부장 ‘컴백’… 한중관계엔 어떤 영향?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6일 14시 30분


코멘트
박진 외교부 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외교부 제공
박진 외교부 장관(왼쪽)과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외교부 제공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중앙 외사판공실 주임이 7개월 만에 다시 ‘외교부장’으로 복귀했다. 이에 따라 향후 한중관계 등 역내 정세에도 변화가 올지에 관심이 쏠린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체제에서 10년 간 외교부장으로 활동했던 왕 위원은 작년 말 친강(秦剛) 부장에게 직을 물려준 뒤 외교 분야 최고위직인 당 중앙 외사판공실 주임을 맡아 그간 중국의 ‘외교 사령탑’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전인대) 상무위원회는 25일 친 부장을 면직하고 왕 위원을 외교부장으로 재선임했다고 밝혔다. 친 부장은 최근 한 달 동안 공개석상에 모습을 보이면서 건강 이상 등 각종 ‘설’(說)에 휩싸였던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전랑 외교’의 대표주자로 불렸던 친 부장이 아닌 왕 위원이 다시 중국 외교부장을 맡음에 따라 그간 누적돼온 한중 간 갈등이 완화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왕 위원이 최근 ‘한중 및 한중일 관계 증진’의 필요성을 부쩍 강조하고 있단 이유에서다.

일례로 왕 위원은 이달 초 중국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열린 ‘2023 한중일 3국 협력국제포럼(IFTC)’ 참석 당시 한중일 3국 간 관계 증진을 위한 민간 교류 활성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당시 한중관계는 싱하이밍(邢海明) 주한중국대사의 내정간섭 논란으로 경색 국면이 심화되던 상황이었다.

왕 위원은 이후 14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열린 박진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을 통해서도 ‘한중일 정상회의·외교장관회의 등 3국 협력 협의체의 재활성화를 위해 적극 노력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왕 위원은 같은 날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에서도 한중일 3국 고위급(차관) 회담 개최를 제안했다고 한다.

ⓒ News1 DB
ⓒ News1 DB
특히 왕 위원은 당시 박 장관과의 회담을 위해 당초 예정됐넌 영국 외교장관과의 회담을 ‘약식 회동’으로 바꾼 것으로 알려져 그만큼 한중관계 관리을 신경 쓰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이 때문에 왕 위원이 중국 외교부장직을 수행하는 기간 다른 ‘돌발 변수’가 생기지 않는 한한중 간 대화 촉진 등 관계 증진 기조는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우리 정부가 연내 개최를 추진 중인 한중일 정상회의에도 탄력이 붙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울러 왕 위원이 작년 말 방한을 추진하다 중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유행 및 외교부장 교체로 ‘불발’됐던 점을 고려할 때 왕 위원의 방한 및 한중외교장관회담 개최가 재추진될 수 있단 관측도 제기된다.

왕 위원은 작년 8월 칭다오에서 열린 박 장관과의 한중외교장관회담 땐 “자장면을 먹으러 한국을 가겠다”고 말했고, 이에 박 장관도 “한국을 방문하면 나와 같이 북한산 등산도 하고 제일 맛있는 자장면을 함께 먹으면 좋겠다”고 화답한 적이 있다.

이와 관련 이동규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왕 위원은 박 장관과 친분이 있는 만큼 그의 외교부장 재선임은 한중 간 외교적 소통이나 고위급 회담 등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위원은 “왕 위원이 지금 당장은 방한을 검토하고 있진 않겠지만, 방한한다면 중국의 한중관계 악화 방지 및 전환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