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폭우 사태 겪으며 환경부 물관리 일원화 우려 현실로 드러나”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9일 12시 40분


코멘트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양천구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방문해 관계자로부터 시설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2023.7.19/사진공동취재단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19일 오전 서울 양천구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방문해 관계자로부터 시설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2023.7.19/사진공동취재단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19일 수해 피해가 커진 배경에는 문재인 정부의 실정이 있었다고 지적하며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에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환경부 수자원 관리를 국토부로 넘겨야 한다고 발언한 데 대해서는
“독려의 말씀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시 양천구 대심도 빗물터널(지하저류시설)을 방문해 이런 뜻을 밝혔다.

대심도 빗물터널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8월 방문했던 곳으로 당시 윤 대통령은 “서울시에서 2011년에 발표한 상습침수지역 7곳의 대심도 빗물 터널 건축계획이 당초대로 설치됐다면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김 대표는 대심도 빗물터널 중앙제어실 및 펌프장 시설 등을 둘러본 후 이기재 양천구청장 등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물은 환경의 영역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우선돼야 할 것은 치수의 영역이라고 저는 생각한다”며 “치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국민 생명과 안전, 소중한 재산을 심대하게 침해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2018년 문재인 정부 시절 물관리 일원화 정치를 한다며 국토부, 환경부, 농림부로 나눠진 업무를 환경부로 일원화하는 조치가 있었다”며 “그 당시에도 환경부가 전국 지류·지천 물관리 업무 전반을 담당할 역량과 경험이 되는지에 대한 많은 의문 제기됐지만 이번 폭우 사태를 겪으며 그 많은 의문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지 않나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물관리 실태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고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만큼 이점에 대한 문제점 보완이 절실하다”며 “2010년과 2011년 당시 오세훈 서울 시장은 2021년까지 8500억원을 들여 서울 도심의 상수 침수 지역 7곳에 대한 대심도를 설치하겠다고 결정했지만 박원순 시장이 재보선을 통해 당선되며 백지화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기록적 폭우가 수도권을 강타했을 때 강남이 물잠기고, 사당에서 큰 피해가 발생했지만 신월동 인근 피해 적었던 건 저류 배설 시설이 한몫했다는 평가”라고 덧붙엿다.

김 대표는 “극한의 이번 국지성 폭우로 인해 자연재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중요하다는 게 대두된 만큼 지역마다 그에 맞는 맞춤형 침수 예방 대책 수립에 최대의 역량 쏟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신월 터널 같은 저류시설이 효율적이고 경제성 높다고 생각한다”며 “이런 점들을 잘 벤치마킹해서 정부가 도심지역에 활용했으면 좋겠다. 이번 집중호우 피해에 대한 복구가 마무리되면 정부 차원에서의 치수계획, 호우 대비 계획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런 차원의 요청을 정부 측에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이 수자원 관리를 환경부에서 국토부에 넘겨야 한다고 발언한 데 대해 “직접 현장에 있던 사람이 아니라 확인이 어렵다”면서도 “(대통령) 말씀의 취지는 환경부가 열심히 일을 잘하라고 독려하는 말씀으로 이해하고 있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당장 호우로 인해 고통을 겪고 있는 분들에 대한 대책, 사후 수습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게 우선”이라고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