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즉사 사즉생으로 연대”…尹-젤렌스키 협력 커졌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15일 21시 40분


코멘트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키이우 마린스키궁에서 열린 한·우크라이나 정상회담에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우크라이나를 전격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키이우 마린스키궁에서 열린 한·우크라이나 정상회담에 앞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저는 ‘드니프로 강의 기적’이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 믿는다.”

윤석열 대통령은 15일(현지 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공동 언론발표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관심 덕분에 우크라이나 학생들도 교과서에서 ‘한강의 기적’을 배우게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6·25 침략의 폐허를 딛고 이뤄낸 ‘한국 전후 회복과 번영의 역사’가 우크라이나 영토를 가로지르는 드니프로강에도 있을 것이라 확신한 것.

윤 대통령은 이날 안보적-인도적-재건적 지원을 포괄하는 이른바 ‘우크라이나 평화 연대 이니셔티브’를 함께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러시아 등 권위주의 세력의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를 차단하려는 자유진영의 대열에서 적극 기여한 뒤 2000조 원대로 추정되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서도 주도권을 쥐겠다는 복안이 깔려 있다.



● 尹 “‘생즉사(生則死) 사즉생(死則生)’으로 연대”
윤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의 불법 침략으로 인해 무고하게 희생된 우크라이나 시민들,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 바친 우크라이나의 젊은이들, 그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고 했다. 이어 “젤렌스키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죽음을 겁낼 권리가 없다’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며 “함께 싸워나간다면 분명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낼 수 있다”고 했다.

양 정상은 안보-인도-재건을 포함한 ‘우크라이나 평화연대 이니셔티브’ 구상도 공개했다. 윤 대통령은 안보 지원에 대해 “방탄복, 헬멧과 같은 군수물자를 지원한 데 이어 올해 더 큰 규모로 군수물자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인도 지원에 대해선 “지난해 약 1억 달러의 인도적 지원에 이어, 올해 1억5000만 달러의 지원도 효과적으로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 尹-젤렌스키 “전후 재건 협력 확대”
양 정상 공동 발표의 후반부는 ‘전후 재건’을 위한 협력에 방점이 찍혔다. 윤 대통령은 “우리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양국 정부와 기업 간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며 “인프라 건설 등 양국 간 협력 사업을 신속히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쟁으로 파괴된 교육기관 재건을 위한 협력도 추진하기로 했고, ’윤석열 젤렌스키 장학금‘을 신설해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학생들이 안심하고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은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평화, 번영을 가꾸는 동반자가 될 것”이라며 “세계의 자유, 평화, 번영에 함께 기여하는 믿음직한 파트너”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이 폴란드에 이어 우크라이나까지 직접 방문함에 따라 2000조 원 이상으로 추정되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한국의 참여 폭이 커질 기반이 마련됐다. 윤 대통령은 13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날 우크라이나까지 직접 방문해 정상 차원에서 ‘양국 정부와 기업 협력 확대’를 천명하면서 전후 재건을 위한 ‘3각(한국-폴란드-우크라이나) 협력 체계’의 틀이 갖춰졌다는 평가다.

바르샤바=장관석 기자 j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