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입장에 신중했던 대통령실…한일 정상회담도 고심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6일 11시 00분


코멘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절차가 막바지로 향하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라는 일본 현지 보도가 나왔다. 한일 정상회담이 이루어진다면 오염수 방류라는 민감한 이슈가 테이블에 오를 것이기에 대통령실도 고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일본 마이니치신문은 지난 5일 기시다 총리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윤 대통령과의 별도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양 정상은 지난 5월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렸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이후 약 2개월 만에 다시 마주 앉게 된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은 4일 일본 도쿄에서 기시다 총리와 회담을 갖고 ‘방류로 인한 방사선이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무시할 정도’란 내용이 담긴 최종 보고서를 내놨다. 이에 일본 정부가 8월 말쯤 방류를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기시다 총리는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안전성 및 감시 체제를 설명하고 이해를 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그로시 사무총장과 만나 오염수 방류에 대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국내외에 설명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후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의 설명에 대한 입장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그동안 IAEA의 최종 보고서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혀 왔지만 오염수 방류가 국민 안전과 직결될 수 있는 만큼 고심할 수밖에 없다. 내년 총선까지 약 9개월이 남은 시점에서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도 없다.

앞서 IAEA의 최종 보고서가 공개된 직후에도 대통령실은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입장을 밝힐 것”이라며 입장 발표에 조심스러워했다. 이후 5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원자력 안전 분야의 대표적 유엔 산하기구인 IAEA의 발표 내용을 존중한다”고 밝혔지만 공식적인 대면 또는 서면 브리핑의 형식은 아니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를 바라보는 국내 여론은 여전히 싸늘하다. 한국갤럽이 지난달 27~29일 전국 성인남녀 1007명에게 후쿠시마 방류가 우리나라 해양·수산물을 오염시킬까 걱정되는지를 물은 여론조사 결과(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걱정 된다’는 78%, ‘걱정되지 않는다’는 20%를 기록했다.

야권에서도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6일 오염수 해상 방류를 저지하기 위해 1박2일간 철야농성을 하고 결의대회를 갖고, 민주당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투기 대책위원회도 외신 기자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민주당은 4일 긴급의원총회에서 IAEA 최종보고서에 반대 입장을 밝히며 ‘후쿠시마 오염수 투기 저지를 위한 민주당 국회의원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오염수 방류는) 현재 또 미래 세대들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방류하는 상황으로 이어지면 지지율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우리 국민 정서하고 IAEA 보고서, 일본 측 입장 등과 어떻게 선을 맞추는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