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여정 “군사정찰위성 머지않아 임무 수행 착수…주권적 권리”

  • 뉴스1
  • 입력 2023년 6월 1일 06시 40분


코멘트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평양 노동신문=뉴스1)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1일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미국의 비판적 입장을 비난하며 정찰위성 재발사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김 부부장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의 주권적 권리와 이익을 수호해 나가는 데서 우리는 그 무엇이라도 행동할 준비가 되어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달 31일 진행된 북한의 정찰위성발사를 두고 미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대변인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며 규탄한 점을 겨냥했다.

김 부부장은 미국의 입장이 ‘자가당착의 궤변’이라며 “남들이 다 하는 위성발사를 놓고 그 목적 여하에 관계없이 탄도로케트(로켓)기술 이용을 금지한 유엔 안보이사회 ‘결의’에 걸어 우리(북한)만이 해서는 안된다는 것은 억지 논리”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 누구도 미국에 특정 국가의 주권적 권리를 걸고들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지 않았다”라며 “미국은 더이상 착각하며 스스로를 과신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또 “우리는 미국과 그 앞잡이들과는 대화할 내용도 없고 대화의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며 “우리와 대결을 추구하며 나가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가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더욱 공세적인 자세에서 우리식대로의 대응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는 미국과의 대결의 장기성을 잘 알고 있다”라며 “예상되는 위협과 도전들을 의식하고 포괄적인 방면에서 전쟁억제력 제고에 모든 것을 다해나갈 것”이라며 지속적인 국방력 강화 의지도 재확인했다.

아울러 위성발사와 관련해 “적들이 우리가 정찰위성을 포함한 우수한 정찰 정보 수단을 보유하게 되는 것을 제일 두려워한다는 것을 재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정찰수단 개발에 더 큰 힘을 쏟아부어야 하겠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다”며 “군사정찰위성은 머지않아 우주 궤도에 정확히 진입해 임무 수행에 착수하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북한은 전날인 5월31일 오전 6시27분 평안북도 철산군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신형 위성운반로케트(로켓) ‘천리마-1’형에 탑재해 발사했으나 발사체가 추락하면서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는 데 실패했다. 이후 북한은 발사체의 오류를 수정해 2차 발사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