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워싱턴DC 도착…국빈 방미 일정 본격 시작

  • 뉴시스
  • 입력 2023년 4월 25일 04시 25분


코멘트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12년 만에 미국 국빈 방문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 도착했다.

윤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탄 공군 1호기 전용기는 이날 오후 미국 워싱턴 앤드류스 합동기지에 착륙했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오후 1시 30분께 전용기에서 내렸다. 윤 대통령은 짙은 군청색 양복에 하늘색 넥타이를 했고, 김 여사는 하늘색 긴 원피스형 재킷 차림에 베이지색 구두를 신었다. 윤 대통령과 김 여사는 손을 잡고 트랩을 내려왔다.

공군 1호기 앞에는 환영 인사들이 도열해 윤 대통령 부부를 맞이했다. 화동이 꽃을 들고 서 있었고, 뒤쪽으로는 미군의장대가 도열했다. 레드카펫 맨 끝에는 의장대가 성조기와 태극기를 들고 서 있었고, 왼편에는 군악대가 배치됐다.

미국 측에서는 루퍼스 기포드 의전장, 필립 골드버그 주한대사, 커트 캠벨 NSC 인도태평양조정관, 크리텐브링크국무부 동아태차관보, 에드가드 케이건 NSC 동아시아대양주 담당 선임 보좌관, 브라이언 보백 89정비전대장이 나왔다.

한국 측에서는 조현동 주미대사 부부, 이승배 워싱턴지구한인연합회장, 박요한 민주평통 미주부의장대행, 김선화 한국학교워싱턴지역협의회장이 나왔다.

윤 대통령은 화동 여아에게 가볍게 입맞춤을 했고, 김 여사는 화동 남아에게 악수를 했다. 그리고 영접 나온 인사들과 차례로 악수하고 목례하며 인사했다.

윤 대통령은 의장대 사이를 골드버그 대사와 걸었고, 김 여사는 한 발짝 뒤에서 걸어갔다. 윤 대통령 부부가 레드카펫 끝에 서자 군악대가 애국가와 미국 국가를 차례로 연주했다.

윤 대통령 내외는 오후 1시35분께 대기 중이던 차량을 타고 공항을 빠져나갔다.

윤 대통령은 5박7일간 한미 정상회담, 미 상·하원 합동의회 연설, 하버드대 정책연설 등 다양한 일정을 소화하고 122명의 경제사절단과 함께 세일즈 외교에도 나선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국빈 방미 첫 일정으로 동포 간담회를 가진다.

둘째 날에는 투자신고식 및 한미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한미 첨단산업포럼 등 행사에 참석하고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고다드 우주센터를 방문한다. 그리고 저녁에는 한국전쟁기념비 방문 및 바이든 대통령 내외와의 친교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방미 셋째날에는 백악관 공식환영식, 한미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 국빈만찬 일정이 차례로 진행된다. 한미 연합방위태세 및 확장억제 구체화, 공급망 파트너십 강화 등 경제안보 협력 관련 논의가 폭넓고 심도 있게 이어질 전망이다.

방미 넷째날인 27일에는 미 상하원 합동의회 연설에 나선다. 동맹 70년 역사를 돌아보고 양국이 당면한 도전 과제를 진단하며, 지향해야 할 동맹의 청사진을 제시할 예정이다.

윤 대통령은 의회 연설 후 해리스 부통령 내외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주최하는 국빈오찬에 참석한다. 오찬을 마치고는 장소를 옮겨 미국의 군 수뇌부로부터 정세브리핑을 받을 예정이다. 그리고 같은날 늦은 오후 보스턴으로 이동한다.

윤 대통령은 28일 보스턴에서 메사추세츠공대(MIT)에서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담, 한미 클러스터 라운드테이블 참석, 하버드대 정책 연설 일정을 진행한다.

윤 대통령은 29일 미국 국빈 방문 공식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오를 예정이다.

김 여사는 국빈 방미 기간 질 바이든 여사와 공식 일정 외에도 별도의 친교 시간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