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골드라인 혼잡구간에 셔틀 투입…버스전용차로 확대

  • 뉴시스
  • 입력 2023년 4월 14일 16시 29분


코멘트
1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역에서 시민들이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을 이용해 출근하고 있다. 2023.4.14/뉴스1 ⓒ News1
14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역에서 시민들이 김포도시철도(김포골드라인)을 이용해 출근하고 있다. 2023.4.14/뉴스1 ⓒ News1
‘지옥철’ 오명을 쓴 김포 골드라인의 출퇴근 혼잡도 개선을 위해 정부가 혼잡이 극심한 구간에 셔틀버스를 무제한 투입한다. 셔틀버스 운영 노선에는 혼잡도가 높다고 평가되는 풍무·고촌역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버스 운행 속도 개선을 위해 버스전용차로 확대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개화역 인근부터 김포공항까지 이어지는 구간에 대한 버스전용차로 설정 협조를 요청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D 등의 추진도 살핀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14일 김포공항 국제선 청사에서 열린 ‘김포 골드라인 혼잡완화 긴급 대책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지난 11일 오전 7시50분쯤 김포 골드라인 김포공항역에서 10대 여고생과 30대 여성이 호흡곤란 증상 등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일이 발생했다.

원 장관은 이와 관련해 “김포 골드라인 혼잡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닌데 며칠 전 승객 중 일부가 호흡곤란을 겪는 안전사고가 발생했다”며 “교통 전체를 최종 책임지는 주무부처 책임자로 고통을 겪은 시민 등에게 죄송한 마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도 사고 소식을 접하고 (혼잡도 개선) 특별 지시를 했는데 지하철5호선 연장, GTX-D 등은 근본 대책이 될 수 있지만 당장 혼잡과 안전이 문제라 초단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우선 출퇴근 시 혼잡 구간에 셔틀버스를 무제한 투입해 운행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한 “개화역 인근에서 김포공항까지 버스전용차로 지정이 안 돼 있는데, 이를 관리하는 서울시에 지정 요청을 할 것”이라며 “전용차로 지정이 되고 버스가 투입될 때까지 혼잡 구간에 안전요원이나 구급요원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열린 김포 골드라인 혼잡완화 긴급 대책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4.14/뉴스1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14일 김포공항 국제선청사에서 열린 김포 골드라인 혼잡완화 긴급 대책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4.14/뉴스1
이어 “매일 상황을 보고할 수 있도록 초단기 상황실을 이날부터 운영하고, 김포시 등과 함께 태스크포스(TF)를 즉각 가동할 수 있도록 협의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지하철 5호선 연장, GTX-D 등이 잘 추진될 수 있게 모든 방법을 동원해 최대한 앞당기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와 김포시, 서울시 간의 그간 협의 내용을 공개하며 “김포골드라인 혼잡완화를 위해 버스전용차로가 조속한 시일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광위와 김포시는 2021년 3월 ‘김포골드라인 혼잡해소대책 TF’를 구성하고 2021년 4월 서울시에 ‘서울 방향 시간제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설치 협의를 요청했다. 협의 결과 서울시와 김포시는 김포시 신곡사거리에서 김포공항까지를 잇는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를 단계별로 설치하기로 했다.

김포시가 신곡사거리에서 서울시 경계, 서울시 경계에서 개화역을 잇는 1~2단계 구간 버스전용차로를 우선 설치하고, 지하철 등에서 수단 전환이 이뤄지는지 효과를 검증한 뒤 개화역에서 김포공항까지의 서울시 구간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개화역에서 김포공항 구간은 고속도로 램프, 지하차도 등 입체교차시설이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데다 이면도로 접속부, 건물 진출입 등으로 인해 거의 전 구간이 점선으로 운영돼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김포시나 대광위에서 서울시에 추가적으로 버스전용차로 설치에 대해 협의를 해 온 바는 없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서울시는 “수도권 주민들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위해 광역버스 증차 및 노선신설, 환승센터 및 편의시설 개선 등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