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 위기’ 김재원, 5·18묘지 참배…“사과의 마음 전하고 싶다”

  • 뉴스1
  • 입력 2023년 4월 14일 15시 31분


코멘트
5·18 정신 헌법수록을 반대한다고 발언해 비판을 받아온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4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국립5·18민주묘지 제공) 2023.4.14
5·18 정신 헌법수록을 반대한다고 발언해 비판을 받아온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4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하고 있다. (국립5·18민주묘지 제공) 2023.4.14
‘5·18 헌법수록 반대’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던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4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국립 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에 따르면 김재원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11시30분쯤 비공식 일정으로 광주 북구 운정동 5·18민주묘지를 찾았다.

그는 박남선 광주 5·18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도청 시민군 상황실장 등과 함께 묘역을 방문, 30분가량 머물며 추모탑에서 헌화·묵념하고 묘역을 돌아봤다.

동행한 박남선 실장은 “김 위원이 ‘자신이 5·18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며 안내자로서의 동행을 제안해 함께 민주묘역을 찾았다”고 말했다.

김재원 최고위원의 이날 5·18민주묘지 방문은 사전 연락 없이 이뤄진 만큼 묘역 관계자의 집례나 임을 위한 행진곡 음악도 재생되지 않았다.

5·18망언을 한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4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방명록에 사죄 문구를 남겼다. (국립5·18민주묘지 제공) 2023.4.14
5·18망언을 한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14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방문해 방명록에 사죄 문구를 남겼다. (국립5·18민주묘지 제공) 2023.4.14
그는 방명록에 ‘광주시민의 아픔과 민주 영령님들의 희생을 늘 기억하겠다. 깊이 사과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적었다.

김재원 최고위원의 묘지 참배를 두고 오월단체 관계자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황일봉 공법단체 5·18민주화운동부상자회장은 “국민의힘 당 차원에서 사죄하러 온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자격으로 온 것이기 때문에 덤덤하게 지켜봤다”며 “앞선 오월정신 헌법 전문 수록 문제는 대통령실과 여야에서 확실하게 인정한 것이기 때문에 김재원 위원의 사죄는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이 오월정신을 헌법전문에 수록한다는 확고한 의지를 보인 만큼 일부나마 진정성이 보인다”면서 “어떤 경우라도 광주 5·18민주화운동이라는 엄연한 역사적 사실과 광주 시민들의 희생을 모독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오월단체 관계자는 “국힘 당 차원에서 징계론이 대두돼 온 만큼 진정으로 오월영령에 사죄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며 ‘정치적 목적’을 의심했다.

이어 “자신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5·18 망언, 4·3 망언 등을 반복했는데 갑자기 생각이 바뀔 수 있겠느냐. 사과한다고 해서 진정성이 있다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재원 최고위원은 지난달 12일 전광훈 목사의 사랑제일교회 예배에 참석해 “5·18광주민주화운동의 헌법 수록을 반대한다”고 말해 공분을 샀다.

당시 정치권을 포함한 광주·전남지역사회는 “김 최고위원이 5·18정신을 훼손, 민주주의 역사를 부정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비판이 이어지자 김 최고위원은 지난 4일 ‘한달간 최고위원회 회의 불참, 언론출연 중지 등 자성의 시간을 갖겠다’며 자숙에 들어갔다.

그럼에도 홍준표 대구시장이 김 최고위원에 대한 중징계를 요구하고 여권 지지율의 악재라는 비난이 이어지자 당 지도부는 새로 구성되는 윤리위를 통해 징계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