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첩단 사건’ 배후 지목된 北 ‘문화교류국’은?…‘당 중앙’ 통하는 공작기구

  • 뉴스1
  • 입력 2023년 1월 20일 15시 23분


코멘트
국가정보원 관계자들이 18일 오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울 사무실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을 마친 후 압수품 상자를 들고 나가고 있다. 2023.1.18/뉴스1
국가정보원 관계자들이 18일 오후 서울 중구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울 사무실에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을 마친 후 압수품 상자를 들고 나가고 있다. 2023.1.18/뉴스1
방첩당국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수사 중인 제주·창원의 ‘지하조직’ 관련 사건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관련 사건에서 등장하는 북한의 조직은 ‘문화교류국’이라는 곳이다.

문화교류국은 북한의 ‘대남 공작’을 담당하는 기구로, 표면적으로는 존재가 드러나지 않고 은밀하게 활동하는 곳이다. 당 전문부서인 통일전선부, 인민군 산하인 정찰총국, 보위성 등 북한의 대남 정보수집 기관들과 별도로 활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북한이 공식적으로는 존재에 대해서 언급하거나 간부들의 인사 등 활동 내역을 일체 공개하지 않는 곳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다른 대남 공작기구들보다 문화교류국의 대남 활동의 폭이 가장 넓고, 전문성도 뛰어나다는 분석을 내리기도 한다.

정보당국 등에 따르면 문화교류국은 1974년 5월 노동당 산하의 연락부와 문화부를 통합한 ‘문화연락부’로 출범한 뒤 ‘대남연락부’, ‘사회문화부’, ‘대외연락부’ 등으로 잦은 명칭 변경을 겪었다.

2009년 당에서 내각으로 소속이 변경되고 이름도 대외교류국(225국)으로 변경됐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다시 당 소속으로 변경되며 지금의 ‘문화교류국’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상태다.

북한의 공식적인 대남기구인 당 통일전선부 산하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당 중앙’의 직접 지시를 받는 곳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대남용 기구로만 활동하는지, 다른 채널로 공작활동을 병행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주 임무는 △간첩(공작원) 남파 △공작원 교육 △한국 내 고정간첩 관리 △지하 당 구축 △해외공작 등으로 추정된다. 재일조선인총연합회(총련) 관련 업무도 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문화교류국은 공작원과 무역 전문 요원을 내세워 공작자금 조달과 외화벌이 목적의 무역회사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유럽 등 해외 지역에서 북한 내 최고층이 사용하기 위한 명품과 사치품을 조달하는 업무도 맡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문화교류국이 최근에는 대남 공작기구에서 점차 활동폭이나 조직의 성격을 확대하고 있으며, 북한 내부에서 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조직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문화교류국은 과거 세간의 이목을 끌었던 여러 간첩 사건의 배후로도 지목된다. 우리 정보당국은 지난 2006년의 일심회 간첩단 사건과 2011년 왕재산 사건, 2021년 충북동지회 사건 등도 문화교류국이 개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