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美신형 핵탐지정찰기, 美본토 밖 첫 성능 테스트…北 핵실험시 한반도 전개될 듯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월 20일 14시 02분


코멘트

WC-135R 16일 미 본토 밖에서 첫 성능 테스트, 대기 중 핵물질 포집 임무
北 핵실험 때마다 동해 전개, 미 공군 연내 신형 기종으로 교체 운용 추진

지난해 7월 미국 네브라스카주 오풋 공군기지에 신형 핵탐지정찰기 WC-135R 1호기가 배치되고 있다. 미 공군 홈페이지

미국 공군의 신형 핵탐지정찰기(WC-135R)가 최근 미 본토 밖에서 첫 성능 테스트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북한의 7차 핵실험 임박 징후가 포착되면 일본 오키나와 가데나 기지로 전진 배치된 뒤 한반도로 전개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9일(이하 현지시간) 미 공군에 따르면 WC-135R 1호기가 16일 남아메리카 동해안 상공을 장시간 비행하면서 공기 입자를 포집하는 테스트를 진행했다. ‘콘스탄트 피닉스’로 불리는 이 정찰기는 동체 옆에 장착된 대기 표본수집 장비로 공기 중에 떠 또는 방사성 물질을 포집 분석할 수 있다. 과거 북한의 핵실험을 전후해 한반도 주변으로 전개돼 핵물질의포집 임무를 수행해왔다.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당시 동해상으로 날아와 방사성 물질을 포집한 바 있다.

이번 비행은 지난해 7월 미 네브라스카주 오풋 기지에서 신형 핵탐지정찰기 WC-135R 1호기가 배치된 이후 미 본토 밖에서의 첫 성능 테스트라고 미 공군은 전했다.

미 공군의 신형 핵탐지정찰기 WC-135R가 16일(현지시간) 남아메리카에서 실시한 성능 테스트의 비행 경로. 항공기 추적사이트 CANUK78
미 공군은 운용한지 50년이 지난 구형 핵탐지정찰기(WC-135C/W)를 지난해 말까지 퇴역시킨 뒤 신형 핵탐지정찰기를 올해 상반기부터 투입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3대의 신형 핵탐탐지정찰기를 순차적으로 도입 배치할 방침이라고 한다. WC-135R는 기존 WC-135C/W보다 작전 범위가 넓고, 핵물질 입자의 포집 능력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핵탐지견’이란 별칭의 WC-135 정찰기는 핵실험 직후 대기로 퍼져나간 극미량의 방사성물질(핵종)을 포집 분석한다. 핵실험의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인 핵종의 종류와 농도, 비율을 분석해 핵실험에 사용한 핵물질이 플루토늄인지 우라늄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과거 북한 핵실험 때마다 동해로 날아왔다. 지난해 5월 당시 갓 출범한 윤석열 정부와 한미 정상회담(21일)을 겨냥한 북한의 핵 도발 우려가 고조되자 WC-135W 1대가 오키나와 가데나 기지로 전진 배치되기도 했다.

WC-135 정찰기는 냉전시대부터 옛 소련 상공 등 세계 곳곳에서 핵실험 탐지 임무를 수행해왔다. 최대 12km 고도에서 시속 640km로 비행할 수 있고, 30여 명의 승무원과 전문 분석 요원이 탑승해 임무를 수행한다.

군 관계자는 “미 공군의 신형 핵탐지정찰기가 미 본토 밖에서 대기 중 포집 성능을 점검한 것은 향후 북한의 7차 핵실험 도발시 방사능 탐지 임무에도 투입될수 있다는 의미”라며 “추가 테스트를 거쳐 운용태세를 완비하는대로 북한의 핵실험 임박시 한반도 주변으로 날아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