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 타격할 스텔스 무인기 연내 생산… 드론 킬러도 개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월 5일 03시 00분


코멘트

‘합동 드론사령부’ 조기 창설하고
北무인기 대응 탐지자산도 강화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스텔스 기능을 갖춘 무인기 시제기. ADD 제공
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 중인 스텔스 기능을 갖춘 무인기 시제기. ADD 제공
군 당국은 4일 지난해 12월 북한 무인기 도발에 대한 후속 대책으로 감시, 식별, 타격 등 기존 방공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우리 영공으로 날아오는 드론을 격추하거나 북한 시설까지 타격이 가능한, 최신예 드론 전력을 갖추겠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스텔스 무인기(드론)의 연내 생산, 소형 드론 등의 연내 대량 생산을 지시했다. 또 감시 정찰과 전자전 등 다목적 임무를 수행하는 합동드론 부대 창설, 북한 무인기를 격추할 드론 킬러 체계의 신속한 마련을 지시했다. 군 관계자는 “각 군 전력을 모은 합동사령부로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창설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스텔스 무인기는 군이 지난해 3월에야 개발 추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군은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기존 보유 기술을 활용해 올해 안에 스텔스 무인기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스텔스 무인기 기술을 과거부터 자체적으로 축적해왔다”며 “연내 남은 시간 동안 집중해 개발 속도를 높이면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현재 군의 무인기 개발은 군단급에서 운용하는 중대형급 무인기에 집중돼 왔다. 하지만 이미 확보된 기술들을 활용할 경우 이보다 더 작은 무인기의 개발 및 생산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것. 군 관계자는 “스텔스 무인기는 북한 상공에 은밀히 침투해 정찰 임무를 수행할 뿐 아니라 총기나 각종 폭탄을 탑재해 주요 시설 공격까지 가능하도록 공세적 개념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군이 신속히 개발하겠다고 밝힌 드론 킬러는 레이저빔이나 총기 발사, 그물망 투하 등 방식으로 비행하는 적 드론을 격추하거나 떨어뜨리는 드론을 말한다.

이번에 남하한 북한 무인기들은 2m급 소형으로 레이더 반사 면적이 작아 탐지·추적이 어려웠다. 이에 군은 북한 무인기 대응 과정에서 다수의 항적을 동시에 추적하고, 저공비행까지 식별할 수 있는 레이더 등 탐지 자산도 강화한다. 무인기를 격추할 아파치 공격헬기, 대공포·유도무기를 탑재한 비호복합 등 타격 자산을 전방 지역으로 전진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북한 타격#스텔스#무인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