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이틀 해상완충구역에 350발 포격… 9·19합의 또 위반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18일 심야 250발, 어제 낮 100발
6일새 사격금지구역에 910발 쏴
北 “적 도발에 경고”… 미군훈련 겨냥
美에 합의 파기 책임 전가 노린듯

북한이 18일 심야(250여 발)에 이어 19일 낮(100여 발)에도 9·19 남북군사합의를 노골적으로 위반하고 동·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북 완충구역으로 총 350여 발의 포를 쏘는 등 몰아치기 도발 공세를 펼쳤다. 이날 연평도에서는 포성 소리가 들리는 동시에 주택의 창문까지 흔들리며 주민들이 불안에 떨어야 했다. 북한은 앞서 14일에도 동·서해 완충구역 내로 포격(560여 발)을 했다. 엿새 사이 총 910여 발의 포탄을 사격 금지구역에 쏟아부은 것. 북한의 잇단 포격 도발에는 122mm 방사포 등이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19일 오전과 오후 두 차례에 걸쳐 총참모부 대변인 명의로 “적들이 18일 남강원도 철원군 전연(전선) 일대에서 수십 발의 방사포탄을 쐈고, 또 19일 오전에도 아군 제5군단 전연 일대에서 방사포 10여 발을 발사하는 군사도발을 했다. 이에 대해 강력한 위협 경고사격을 진행했다”고 발표했다. 북한이 주장한 ‘도발’은 주한미군이 실시 중인 다연장로켓(MLRS) 사격훈련으로 군은 보고 있다. 이 훈련은 9·19 합의를 지켜서 군사분계선(MDL) 5km 이남에서 이뤄졌는데도 북한이 재차 트집을 잡아 포격 도발을 강행한 것은 9·19 합의가 파기될 위기에 놓인 책임을 미국에 전가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를 통해 한미·남남 갈등을 유도하고 한국 정부가 9·19 합의를 먼저 파기하도록 유인해 후속 도발의 명분을 쌓겠다는 의도라는 얘기다. 대남 전술핵 위협을 무기 삼아 전방의 군사 긴장을 고조시켜 한미 군의 실사격 훈련을 위축시키려는 저의가 깔린 것으로도 분석된다.

북한이 서해 해상 완충구역으로 포 사격을 한 19일 낮 인천 옹진군 연평도엔 긴장감이 감돌았다. 연평면사무소는 오후 1시경 “북쪽에서 포격 음이 들리니 마을방송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안내 방송을 했고, 1시간 30여 분 뒤 포 사격이 종료됐다는 방송이 이뤄졌다.

주민 A 씨(50대 남성)는 “최근 북한의 포 사격이 반복되니 12년 전(포격 도발)의 악몽을 떠올리며 불안해하는 분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인천=공승배 기자 ksb@donga.com
#북한#해상완충구역#포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