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영유아 사업 지원을 결정하고 WFP가 지원 물자 구입 등 제반 준비를 해온 걸로 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당국자는 “물자가 전달되려면 북한 내 이동, 모니터링 문제가 국제 기준에 맞게 이뤄져야 하는 부분이 있다”며 “지난해 이후 국경 봉쇄, 북한 내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면서 WFP가 사업 일정을 조정하고 있는 걸로 안다”고 설명했다.
WFP는 최근 홈페이지에 올린 ‘국가 전략계획 수정’ 문서에서 “북한에 식량 반입이 가능하지 않다면 올해 활동이 중단될 수 있다”고 밝혔다고 22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리(VOA)가 보도했다.
WFP는 “제한된 인력으로 활동을 계속하는 위험성과 영양실조 위험에 놓인 어린이·여성을 돕는 당위성 사이에서 균형을 따져볼 것”이라고 했다.
이에 정부가 지난해 WFP와 함께 추진하기로 한 북한 영유아·임산부 지원 사업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통일부는 지난해 8월 WFP에 1000만달러를 지원, 북한 9개도 60개군에 있는 보육원·유치원·소아병동 등 영유아·임산부·수유부에게 영양강화식품 약 9000t을 제공하기로 했다.
[서울=뉴시스]
이언주 “백신 1호 접종 구경만 한 文, 아직 신분사회인가?”
- [단독]‘이용구 폭행사건 지휘’ 서초署 간부, 휴대전화 데이터 삭제 정황
檢내부 “중수청 신설땐 검찰 존재이유 상실”… 尹 직접 의견 밝힐듯
암덩어리 핀셋 제거… 콩팥기능 최대한 살리는 로봇수술의 대가
달리는 의사 서승우 “마라톤, 무릎 망가진다고요? 끄떡없어요”[양종구의 100세 시대 건강법]
[책의 향기]짜장면은 원래 고급 요리였다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