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전략자산 필요성 강조 위해 독도침공 단계별 시나리오 상정
軍“실제 작전과 무관한 참고자료”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과 군 소식통 등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해당 문건엔 1∼3단계에 걸친 자위대의 단계별 독도 침공 작전 시나리오가 담겨 있다.
군 당국은 이에 대응해 독도를 방어하는 우리 군의 F-15K 등 F계열 전투기와 이지스함, 현무 탄도미사일 등 육해공군 주력 무기들도 이 문건에 기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의원 측에 따르면 최신형 전략자산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군 당국이 이 전략자산을 배치해야 할 필요성을 설명하는 문건에 일본군의 독도 침공 시나리오 문건을 포함시켰다. ‘자위대의 군사적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새 전략자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는 것.
다만 군 당국은 강 의원 측이 ‘이 문건이 실제 작전계획(작계)과 관련돼 있느냐’고 추가로 질의하자 “내부 참고자료”라며 “실제 작계와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자위대 출신의 무기연구가 미타카 사토시(三鷹聰)가 2012년 12월 한 일본 잡지에 기고한 가상의 독도 침공 상황을 참고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무관(해외 공관에 파견된 군 장교) 첩보를 토대로 파악된 정보인지”를 묻는 강 의원 측의 질문에는 “구체적 내용은 확인해주기 어렵다”고만 했다.
군이 사실 여부가 불명확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최신 전략자산 도입 필요성을 국회에 보고했다는 것을 스스로 시인한 셈이다. 군 소식통은 “매년 실시하는 독도 방어훈련조차 외교문제로 비화될 수 있단 이유로 훈련 목적에 ‘일본’이 명시되지 않는다. 문건의 존재만으로도 양국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군은 이 문건에 ‘자위대 독도 탈환 작전 시나리오’라는 제목을 붙였다. 마치 독도가 일본 땅인 것처럼 ‘독도 탈환’이라는 표현을 쓴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