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지지율 9주 하락세 멈춰…긍정 45.6% 부정 50.1%

  • 뉴시스
  • 입력 2020년 7월 30일 09시 40분


코멘트

오차범위 내 1.2%p↑…흐름 뒤집혔다 보기 어려워
긍·부정 3주만 오차범위 내…'세종 이전' 공세 효과
'오래된 논의'에 충청 반등은 아직…서울은 하향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9주 연속 내림세를 멈췄다. 지난 20일부터 이어져온 ‘세종 이전’ 이슈가 지지율 하락에 제동을 건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TBS 의뢰로 실시한 7월4주차(27일~29일) 주중 잠정집계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45.6%(매우 잘함 24.6%, 잘하는 편 21.0%)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주 대비 1.2%포인트 상승했는데 오차 범위 내 수치로 하향 흐름이 뒤집혔다고 보기는 어렵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2.1%포인트 내린 50.1%(매우 잘못함 36.3%, 잘못하는 편 13.9%)로 집계됐다. ‘모름·무응답’ 은 1.0%포인트 증가한 4.3%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간 차이는 4.5% 포인트로 오차범위 안이다.

지난 7월2주 차 주간집계(긍정 48.7%, 부정 46.5%) 이후 2주 연속 오차범위 밖 흐름을 보인 긍·부정 평가 차이가 3주 만에 오차범위 안으로 들어왔다.

문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에 제동이 걸린 것은 지난 20일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 등장한 행정수도 이전 및 공공기관 추가 이전 제안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후 이어진 대정부질의 등에서 당이 ‘세종 이전’ 관련 적극 공세를 하면서 남북 관계와 부동산 정책 문제에 더해 탈북자의 재입북 사건과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의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불거진 ‘대북송금 이면합의서’ 등의 지지율 악재 이슈가 상대적으로 희석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4.8%p↓, 41.4%→36.6%, 부정평가 58.7%), 대전·세종·충청(4.5%p↓, 41.8%→37.3%, 부정평가 56.1%) 모두 지지율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행정수도 이전과 공공기관 이전 등 이른바 ‘세종 이전’ 논의가 참여정부 때부터 이어져 온 만큼 곧바로 충청권 지지율 급등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서울의 경우 상대적인 박탈감이 생기는 한편, 이해찬 민주당 대표의 ‘천박한 도시’ 발언도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도 해석된다.

이밖에 대구·경북(7.6%p↑, 33.8%→41.4%, 부정평가 57.2%), 광주·전라(5.8%p↑, 67.7%→73.5%, 부정평가 24.8%), 경기·인천(4.5%p↑, 44.9%→49.4%, 부정평가 47.7%)에서는 지지율이 올랐다.

이념성향별로는 중도(2.3%p↑, 39.2%→41.5%, 부정평가 55.4%), 진보(2.8%p↑, 72.3%→75.1%, 부정평가 22.3%)에서 올랐다. 보수(1.7%p↓, 20.1%→18.4%, 부정평가 80.7%)에서는 하락했다.

직업별로 농림어업(8.7%p↑, 40.4%→49.1%, 부정평가 45.3%), 자영업(6.7%p↑, 39.2%→45.9%, 부정평가 51.5%), 학생(4.4%p↑, 36.7%→41.1%, 부정평가 54.2%), 노동직(3.2%p↑, 48.4%→51.6%, 부정평가 47.0%)에서 상승했고 사무직(4.1%p↓, 53.4%→49.3%, 부정평가 47.3%), 무직(3.1%p↓, 42.0%→38.9%, 부정평가 54.3%)에서는 하락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4.1%p↑, 34.7%→38.8%, 부정평가 56.6%)에서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이번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10%) 및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 무선(80%)·유선(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됐다. 18세 이상 유권자 3만2677명에게 통화를 시도한 결과 최종 1511명이 응답을 완료해 4.6%의 응답률을 보였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