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G20화상회의’ 추진…방역선도국 부각·입국제한 해제 기대

  • 뉴스1
  • 입력 2020년 3월 16일 12시 13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9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9월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G20(주요 20개국) 화상회의를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방역 대응 경험을 공유하며 국제사회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는 동시에 세계적인 경제위기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서다.

16일 청와대에 따르면,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제안한 코로나19 관련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 개최를 국제사회에 기여할 수 있겠다는 판단 속에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 13일 문 대통령과 통화에서 “한국 정부가 투명하고 효율적인 방식을 통해 코로나19를 극복하고 있는 데 대해 경의를 표한다”며 “프랑스도 한국이 성공적으로 취하고 있는 조치의 우수성과 그 방식을 배우고 경험을 공유하고 싶다”고 공조를 요청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G20 차원의 특별 화상 정상화의를 제안했고 마크롱 대통령은 “좋은 생각이다. 실천에 옮기도록 추진해보자”고 화답했다.

청와대는 미국 정부에도 문 대통령의 G20 화상회의 제안을 전달해 긍정적인 답변을 얻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전날(15일)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에서 G20 화상회의 제안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 측은 “좋은 제안”이라며 “G7 화상회의에서 이를 논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전날 캐나다와 독일, 브라질, 이탈리아, 호주 등 6개국 외교장관과 코로나19 관련 다자간 통화를 하며 방역 조치, 출입국 통제, 대응 계획을 공유했다. G20 화상회의 개최에 대한 협조도 당부했다.

16일 열리는 G7 화상회의 소집을 주도한 프랑스와 의장국인 미국이 G20 화상회의 개최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만큼 이르면 이달 내 열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청와대는 한국에서 코로나19와 관련 미국, 유럽 등 국가에 비해 방역과 치료 과정에서 더 많은 정책 결정과 임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는 만큼 이를 국제 사회와 공유한다면 전세계적 문제로 번진 코로나19 문제를 조기에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도움을 요청할 정도로 한국은 방역 상황이 많았다”며 “코로나19에 있어서 만큼은 한국이 세계에서 선도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실제 각국 외신들은 물론 미 의회에서도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방역 대응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저희가 확인한 바로는 (한국의 방역 대응을) 높이 평가하는 외신이 압도적으로 많다”며 “외신이 투명성, 개방성, 민주적 절차라는 3원칙을 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 방역당국의 진단 능력을 평가해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G20 화상회의가 개최된다면 각국의 입국제한 조치로 인한 무역문제, 금융시장 혼란 등 세계적인 경제금융 위기에 관해서도 공동으로 극복하는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청와대 일각에선 G20 화상회의 개최를 계기로 한국에 대한 각국의 입국제한 조치가 완화되는 효과를 기대하는 목소리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각국 입국제한조치 해제를 강하게 밀고 나가는 것은 국제 관례에 맞지 않다”면서도 “한국의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해 방역체계에 관한 신뢰를 쌓으면 상대국에서도 입국제한 조치를 자연스럽게 풀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회의를 제안한 이유는 감염병 대응 방법을 공유할 목적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경제 회생과 위기 관리를 위한 국제 공조가 있어야 한다는 차원”이라며 “감염병 때문에 입국제한을 하더라도 건강확인서를 소지한 기업인의 입국을 허용하는 문제는 G20 차원에서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