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산불에 전방위 속도전 대응…靑, ‘컨트롤타워’ 제 역할

  • 뉴시스
  • 입력 2019년 4월 7일 17시 36분


코멘트

24시간 위기관리센터 가동 통한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
'재난사태' 선포로 상황 관리…소방청 독립 효율성 제고
영상회의 재난 관리 강화…지난해 10월 매뉴얼 만들어
2005년 양양산불과 비교해 봤을 때 완진 19시간 단축
靑 "정부의 체계적 대응·모든 부처 능동적 대응 결과"

강원 고성·속초 일대를 휩쓴 대형 산불이 완전히 진화된 7일 청와대와 정부의 재난 대처 능력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가 재난 상황을 진두지휘하고,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전(全)부처가 속도감 있게 총력 대응해 그나마 큰 인재(人災)를 막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교과서적 대응’이라는 말까지 나오면서 재난 컨트롤타워로서의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는 평가다.

특히 이번 총력 대응의 이면에는 ‘중대 재난재해의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기본 인식 하에 대형 재난 관리를 위한 제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시간 위기관리센터 가동을 통한 정부와의 긴밀한 공조, 신속한 ‘재난사태’ 선포를 통한 상황 관리, 소방청 독립을 통한 상황 대처의 효율성 제고, 영상회의로 재난 관리 기능 강화 등이 이번 신속 대응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나 재해의 경우 청와대가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는 점을 누차 강조해 왔다.

정권 출범 두달여 후인 2017년 7월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중대 재난재해의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는 자세를 갖고 임해야 한다”며 재난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다.

이는 전 정부에서 세월호 참사 등 국민 안전 관리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서 정권이 위기에 몰렸던 경각심과 함께 ‘안전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한 대통령의 공약과도 무관치 않다.

화재 발생 다음 날인 5일 문 대통령은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를 방문해 새벽 0시20분 심야 긴급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가용자원을 모두 동원해 총력 대응하라”고 전 부처에 지시를 내렸다.

이어서, 오전 11시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재방문해 현장에 나가있는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으로부터 현장 상황을 실시간 보고 받았다. 문 대통령은 전 부처 관계자들에게 끝까지 경각심을 놓치 말아달라는 당부의 메시지를 발신하며 긴장 태세를 유지하게 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도 긴박하게 돌아갔다. 24시간 위기관리센터를 가동하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필두로 산불진화와 피해 수습 상황 관리에 나섰다. 청와대 전 직원들은 노란 점퍼인 ‘민방위복’을 착용하며 초긴장상태를 유지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재난 관리의 컨트롤타워로 계속 긴장하고 신속하게 움직였던 것이 큰 몫”이라고 평가했다.

청와대의 발빠른 지시에 맞춰 정부도 신속하게 움직였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화재 발생 2시간30분 만에 긴급지시를 내리리고, 소방청은 화재비상 최고단계인 대응 3단계를 발령(4일·오후 9시44분)하면서 전국에 있는 가용 소방력 총동원 명령을 통한 국가적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또 지휘작전실 운영을 통해 전국 단위 통합 지휘에 나섰다.

이는 전국 각지에서 지원 인력과 장비를 사고지역으로 지원할 수 있었던 기반이 됐다. 24시간 동안 소방관 3251명, 펌프차 등 소방차 872대, 헬기 110여대 등 사상 최대 규모의 인적·물적 자원이 화재 진화에 투입됐다. 이 중 타 지역 지원은 소방관 2598명, 소방차 820대였다.

첫 발화 시점부터 완진까지 소요된 시간은 13시간이었다. 2005년 4월4일 양양산불 발생 당시 완진까지 소요된 시간이 32시간 걸렸던 것과 비교해 봤을 때 19시간을 단축한 셈이다. 양양산불 당시 소방차는 163대, 소방관은 600명이 투입됐었다. 타 지역 지원은 소방차 96대, 소방관 287명에 불과했다.

소방청이 발 빠르게 움직일 수 있었던 것은 지난 2017년 6월 정부조직개편 당시 소방본부가 ‘소방청’으로 분리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안전처 산하 조직에서 독립되면서, 소방청 자체적인 권한 행사를 통해 효율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아울러 이번 강원 산불로 ‘재난관리 영상회의’ 기능도 부각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선제적인 재난 관리를 위해 재난 유형별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만들었다. 국가안보실의 역할을 명확히 규정해 중대 재난에 대한 청와대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참여하는 ‘재난관리 영상회의’를 재난 초기상황부터 운영한다는 내용 등을 골자로 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주재한 이번 긴급회의에서도 현장 영상회의는 빛을 발했다. 재난안전관리본부, 산림청, 소방청, 국방부, 강원도 재난안전대책본부, 속초시청 상황실을 화상으로 연결해 현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고 받았다.

사후 피해 관리 역시 시선을 끌었다.

문 대통령은 6일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강원도 5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피해 지역에 대한 범정부적인 인적·물적 지원의 길을 열었다.

정부도 이재민 긴급주택 지원 등을 포함한 후속 지원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재민 구호소에 긴급복지지원 상담소를 설치하고 대한약사회의 이동식 약국을 운영했다.

교육부는 강원지역 52개 학교에 휴교령을 내리고 198명의 국민이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소를 운영했으며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또한 공공기관 연수시설에 이재민들이 임시로 이주할 수 있도록 조처했다.

과기정술정보통신부 또한 통신·방송 비상대책상황실을 가동하고, 중소벤처기업부, 산업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각 부처도 비상대책상황실을 가동했다.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강원 산불이 더 이상 큰 피해 없이 진화될 수 있었던 것은 정부의 즉각적 총력 대응, 시스템과 매뉴얼에 입각한 체계적 대응, 정부 모든 부처들의 적극적·능동적 대응에 따른 결과”라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정부는 이재민 지원과 시설 복구, 산불 방지 등에 이러한 원칙이 계속 적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