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 230명에게 물었더니…

  • Array
  • 입력 2011년 3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통일,10년내 남북합의 통해 이뤄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
화정평화재단·21세기평화연구소 공동기획

외국에 살고 있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해외협의회 자문위원 230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앞으로 10년 이내에 한반도 통일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90%가량은 한국 사회의 남남갈등이 심각하다고 답변했다.

동아일보와 부설 화정평화재단·21세기평화연구소는 지난달 민주평통, 이화여대 통일학연구원과 함께 민주평통 해외협의회 자문위원의 통일·민족의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응답자들은 외국에서 바라보는 분단의 폐해와 원인, 정부 대북정책과 민족공동체 회복 방안 등에 대해 진솔한 응답을 내놓았다.

○ 통일 되면 마음 안정감 높아질 것


향후 통일 전망을 묻는 질문에 ‘10년 내에 통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 응답자(119명)는 전체 응답자의 51.7%를 차지했다. 설문작업에 참여한 박희진 이화여대 연구교수는 “최근 북한 체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남한의 국력이 높아진 것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또 통일이 되면 어떤 점이 좋아질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1.2%가 ‘마음의 안정감이 높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더 많은 자유’(21.7%)와 ‘더 많은 풍요’(18.5%)를 누릴 것이라는 응답보다 많았다. 정성임 이화여대 연구위원은 “지난해 북한의 잇단 도발 이후 모국에 대한 동포들의 심리적 불안 상태가 반영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응답자들은 ‘통일의 어떤 점에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통일 이후의 미래와 비전’(52.1%)을 통일의 방법(30.1%)이나 시기(4.2%), 주체(11.4%)보다 많이 꼽았다. 이들이 선호하는 가장 바람직한 통일 방식은 ‘남북한 합의에 의한 통일’(45%)이었다.

○ 통일 위해 남북한 모두 노력해야


통일 한반도가 지향해야 할 가장 중요한 가치로는 ‘자유’(32%)가 가장 많았고 통일 한반도가 추구할 가장 바람직한 민족공동체는 ‘정서적, 문화적 동질감에 기반을 둔 문화공동체’(26.4%)가 꼽혔다. 미국에 사는 50대 남성 응답자는 “문화적 통일이 이뤄져야 사회적인 불안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일 이후 민족통합 완성 과정에서 예상되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남북한 주민들의 가치관 차이’(38.6%), 사회문화 통합을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는 ‘남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 적응교육’(31.6%)이 각각 꼽혔다.

○ 분단의 폐해 극복 위해 함께 나서야


응답자의 절반(50%)이 ‘우리 사회의 남남갈등이 매우 심각하다’고 답변했다. ‘심각한 편이다’(39.1%)까지 합하면 90%에 가까워 외국에서 한반도를 바라보는 동포들이 이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남북 화해와 통일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39.5%가 ‘북한 정권의 폐쇄성과 비민주성’이라고 답했다. 이어 23.5%가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가의 전략적 이해관계’를 들었다. 홍민 동국대 연구교수는 “해외 동포들이 이 문제를 (북한 내부 문제뿐 아니라) 국제적 관점에서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 北 도발 막고 통일 이루기를 기대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8·15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발표한 ‘3대 공동체 통일구상’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이 71.3%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하지만 정부 홍보자료를 통해 알게 된 경우가 절반(49.7%)이고 현지 한인사회의 모임이나 친지, 대중매체 등을 통해 알게 된 경우는 많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통일 전 남북한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인도적 과제로 ‘이산가족 상봉 및 교류 촉진’(74.1%)을 꼽았고, 교류와 협력을 해야 할 분야로는 경제(51.5%)를 택했다. 동포들은 지난해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 도발로 큰 충격을 받았다고 토로하고 북한 정권의 변화와 통일을 추동하는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 개방적 민족개념, 정치참여 욕구 높아


한편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민족의 개념은 ‘남북한과 외국에 사는 한민족’(45.1%)이 가장 많았고, 여기에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도 포함시켜야 한다는 응답(42.1%)도 많아 해외 동포들의 개방적인 의식을 반영했다.

민족공동체에 대해서는 ‘같은 언어와 문화를 공유하는 정서적 공동체’(54.7%)라는 응답이 ‘같은 핏줄을 가진 혈연공동체’(27.9%)보다 많았다. 민족 구성원으로서 소외감을 느낀 경우는 ‘투표권 등 정치참여가 제한돼 있음을 느낄 때’(26%)가 가장 많아 강한 정치참여 욕구를 드러냈다. 박영자 이화여대 연구교수는 “해외 동포들이 민족 개념에 대해서는 문화적 측면을 강조하고, 자신들의 처우에서는 정치적 측면을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 어떤 의미 있나… “해외 동포사회까지 통일논의 확대” ▼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민주평통 해외협의회는 전 세계 101개 나라에 자문위원을 둔 글로벌 조직으로 현재 해외 자문위원은 2644명이다. 자문위원들은 국제문제가 된 한반도 통일 문제를 각국 지도층과 여론에 호소하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하고 있다.

설문조사 응답자의 거주 국가는 미국이 97명(42.2%)으로 가장 많고 캐나다 15명(6.5%), 독일 브라질 각 8명(각 3.5%), 영국 아르헨티나 호주 각 4명(각 1.7%),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중국 필리핀 홍콩 각 3명(각 1.3%) 등의 순이다. 응답자들은 객관식 설문 19개 항과 주관식 설문 2개 항에 답변했다.

이번 조사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국가적 차원의 통일 준비 필요성을 강조한 이후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활발해진 논의의 장을 해외 동포사회로까지 확대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일부 응답자는 “한국의 통일에 관심이 많았는데 해외에 사는 우리에게도 의견을 물어봐 줘 고맙다”는 인사를 전했다.

김병일 민주평통 사무처장은 “해외 동포들은 평화통일로 하나가 된 한민족이 세계 속에 우뚝 서길 바라고 있었다”며 “이를 위해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정부와 민간이 힘을 모을 때”라고 말했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