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핵실험 → 대포동 재발사 → 핵군축 요구

  • 입력 2006년 10월 11일 03시 01분


코멘트
北주민들 김일성동상에 꽃다발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 다음 날인 10일 북한 주민들이 평양 만수대의 김일성 주석 동상 앞에 헌화하고 있다. 이날은 북한 노동당 창건 61주년을 맞은 날. 북한이 핵실험 날짜를 9일로 택일한 것은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 추대 9주년인 날(8일)과 당 창건 기념일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평양=AP 연합뉴스
北주민들 김일성동상에 꽃다발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 다음 날인 10일 북한 주민들이 평양 만수대의 김일성 주석 동상 앞에 헌화하고 있다. 이날은 북한 노동당 창건 61주년을 맞은 날. 북한이 핵실험 날짜를 9일로 택일한 것은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 추대 9주년인 날(8일)과 당 창건 기념일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평양=AP 연합뉴스
■ 미국이 보는 북한의 ‘다음 수순’

9일 핵실험을 감행한 북한의 ‘다음 포석’은 뭘까. 미국 정부는 향후 1개월 간 벌어질 북한의 시나리오를 짚어내는 데 골몰하고 있다.

▽추가 핵실험?=추가 핵실험 및 2차 미사일 시험발사 가능성이 최대 관심사다. 인도와 파키스탄의 1998년 5월 핵실험은 모두 ‘하루 간격으로 두 차례’ 실시됐다. ‘빠른 시일 내 재실험’ 가능성을 점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미 정보당국은 9일 핵실험이 한차례뿐이었고, 통상 첫 핵실험에서 감지되는 수kt 규모의 폭발 대신 0.8kt 정도에 그쳤다는 점에서 ‘준비한 플루토늄의 일부만 폭발시켰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10일자에서 “이 경우라면 추가 핵실험은 기정사실 아니냐”고 분석했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9일 “2차 핵실험은 1차 실험 당시에 설정한 실험조건과 결과의 데이터를 손에 쥐고 진행하는 만큼 성공가능성은 훨씬 높아진다”고 말했다. 더 큰 규모의 2차 핵실험이 성공한다면 위기국면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추가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대비는 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징후는 없다”는 태도다.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올 7월 대륙간 탄도탄이지만 불과 2km만 날아간 뒤 떨어졌던 대포동 2호의 재시험발사도 염두에 두고 있다. 물론 핵탄두의 미사일 탑재를 위해선 탄두 무게를 1000kg 규모로 줄여야 한다. 그러나 존 네그로폰테 국가정보국장은 올 초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서 “아직 그 수준에는 못 미쳤다”고 평가한 바 있다.

▽핵군축 요구?=북한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경한 대북제재 결의가 성사된 이후 ‘원점부터 다시 논의’하자는 제안을 내놓을 개연성이 높다. 부시 행정부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이미 핵보유국으로 행세해 온 북한은 미국과 양자형식이건, 기존의 핵클럽 국가를 상대로 하건 ‘핵무장 국가끼리 핵군축협상을 하자’고 제안할 수 있다”는 쪽에 무게를 뒀다.

실제로 북한 외무성은 지난해 3월 31일 성명을 통해 “우리가 핵무기 보유국이 된 지금에 와서 6자회담은 마땅히 참가국들이 평등한 자세에서 문제를 푸는 군축회담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한미간 온도차=북한의 핵실험에 따른 파장과 상황 등을 평가 분석하는 데 한미간에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되고 있다.

윤광웅 국방장관은 9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한국이 워치콘 상향조정을 요청했으나 미국에서 ‘북한의 이상징후가 없어 올릴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핵실험으로 고조되고 있는 안보불안감을 누그러뜨리고 북측의 추가적인 도발을 감시 억제하는 노력이 한층 강화돼야 한다는 요청에 대해 오히려 미측이 동의하지 않았다는 설명인 셈이다.

북한의 핵실험 장소와 핵폭발 위력 등을 놓고도 판단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한국은 함경북도 김책시 상평리와 화대리를 핵실험 장소로 지목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함북 길주군 풍계리를 꼽고 있다. 미국은 핵실험 직전부터 길주군 풍계리를 유력한 핵실험 장소로 보고 예의주시해왔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핵실험을 했다’는 북한의 주장에 대해서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한국도 기정사실화 하지는 않고 있다. 송민순 대통령통일외교안정책보실장도 10일 북한 핵실험의 성공 여부와 관련해 “종합적 판단은 2주 정도 지나야 가능하다”는 유보적인 태도를 취했다.

워싱턴=김승련 특파원 srkim@donga.com

하태원 기자 taewon_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