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의원들, 선거참패 책임 '盧대통령 53% - 黨 34%'

  • 입력 2006년 6월 16일 14시 47분


코멘트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5·31지방선거 참패에 대해 당(34.7%) 보다는 노무현 대통령(53.3%)의 책임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고 문화일보가 16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와 공동으로 9~12일 열린우리당 의원 142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75명-52.8%의 답변내용) 정부ㆍ여당으로부터 민심이 돌아선 가장 큰 요인에 대해 의원들 대다수(70.7%)는 ‘장기화한 경기부진’을 꼽았다.

다음은 △양극화심화(14.7%) △부동산 가격상승(6.7%) △증세 등 조세정책(4.0%) 등을 지적했다.

노 대통령이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의원들 대다수(72.0%)는 ‘신중한 추진’을 주장했다.

또 노 대통령의 향후 국정운영방향으로는 ‘진보개혁’(22.7%)보다 ‘중도안정’(72.0%)을 주문하는 요구가 높았다.

대통령 책임론은 수도권(40.5%) 의원들에게서만 당 책임론보다 낮았고 호남권(87.5%), 충청권(88.9%), 영남·강원·제주(60.0%), 비례대표(45.5%)등 나머지에서는 상당히 높았다.

신문은 정책 측면에서의 참패원인을 묻는 질문에 대해 △개혁노선 혼란(73.3%) △개혁정책 미흡(14.7%) △과도한 개혁정책(12.0%) 순 이었다고 전했다.

한·미FTA와 관련해 의원 54명(72.0%)은 “아직 준비가 충분하지 않은 만큼 신중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정부가 오랜 시간 준비해왔으므로 현재 일정대로 추진하면 된다’는 응답은 20명(26.7%)에 불과했다.

‘당내 차기 대선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한가’를 묻는 질문에는 모름ㆍ무응답이 50.7%에 달했다. 응답자들 가운데는 정동영 전 의장과 고건 전 총리가 각각 12.0%, 김근태 의장 10.7%, 강금실 전 법무장관 6.7%, 한명숙 총리ㆍ천정배 법무장관ㆍ유시민 복지장관이 각각 2.7%였다.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서는 ‘크다’는 응답이 86.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응답자는 선수별로 초선(56명), 재선(13명), 3선 이상(6명) 이었으며, 지역구 분포는 수도권 42명, 호남권 8명, 충청권 9명, 영남·강원·제주 5명, 비례대표 11명 등이다.

이에 대해 한귀영 KSOI 연구실장은 “개별정책 실패보다는 전반적 상황요인에 대한 광범위한 차원의 문제제기여서 그만큼 해결도 어려워 보인다”고 분석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동아닷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