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원 '단합'연수]"정권 재창출 자신"

  • 입력 2001년 1월 29일 18시 44분


▼민주당 연수회 '당정체성 확립' 요구▼

《29일 민주당의 국회의원―지구당위원장 연수에서는 ‘강한 정부’와 ‘강한 여당’을 주문하거나 당의 정체성 확립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강한 정부 여당▼

▽심재권(沈載權) 의원〓설 민심을 수렴해 보니 국민은 원칙 있는 강한 정부를 기대하고 있다.

▽신기남(辛基南) 의원〓개혁적인 국민정당으로서 당의 정체성을 다시 확인하고 확립해야 한다. 일부 기득권과 이익집단의 반발에 힘없이 휘둘리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된다.

▽배기운(裵奇雲) 의원〓안기부 예산횡령 사건 수사가 흐지부지되거나 정치적 흥정의 대상이 돼서는 안된다.

▽유선호(柳宣浩) 위원장〓안기부자금이 정치자금과 혼동돼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이것이 국가세금이라는 것을 명백히 하고 국민의 심판을 받게 해야 한다.

▽이강희(李康熙) 위원장〓일단 만들어진 정책은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 종종 혼선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박인상(朴仁相) 의원〓당정관계가 중요하다. 정책의 혼선이나 난맥상을 보여선 안된다.

▽강현욱(姜賢旭) 의원〓당정협의 과정에선 당이 주도하되 그만한 책임을 다해야 한다.

▽성종욱 위원장〓농촌이 매우 어렵다. 공공근로사업을 농촌에 확대해 어려운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

▽장성민(張誠珉) 의원〓‘민생정치 개발팀’을 구성, 민생요구를 수렴해서 정책에 반영하고 제대로 반영되는지 점검해야 한다.

▼개혁과 당의 정체성▼

▽우상호(禹相虎) 위원장〓3대 개혁법안을 조속히 처리해 당을 지지했던 사람들의 신뢰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임종석(任鍾晳) 의원〓개혁과정에서 우리 지지계층이 많이 떨어져 나갔다. 우리 당과 한나라당 중에서 어느 당이 더 개혁적이냐에 대해 국민의 선택이 모호해지고 있다. 남북관계가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보법에 대한 당론은 후퇴하고 있다. 대통령께서는 노벨평화상을 받으셨지만 인권법은 3년 동안 법무부의 반대를 어쩌지 못해 (처리를) 못하고 있다.

▽박병석(朴炳錫) 이호웅(李浩雄) 의원〓국가보안법 등 3대 개혁입법 문제에 대한 당론을 정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게 아니냐. 의원들이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박범진(朴範珍) 위원장〓대통령께서 인사개혁을 해야 한다. 다른 개혁은 돈과 시간이 필요하나 인사개혁은 그런 것이 필요 없고 결심만 하면 된다. 쉬운 것부터 하자.

▼당 운영과 대선 준비▼

▽천용택(千容宅) 의원〓당의 지지도가 떨어진 것은 정치현안에 대한 대응이 시의 적절하지 않아서다. 당을 시스템화해야 한다.

▽김희선(金希宣) 의원〓움직이는 중앙당이 돼야 한다. 최고위원회의를 지방을 순회하면서 여는 것도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최영희(崔榮熙) 의원〓금년부터 여성조직을 활성화시켜야 내년 대선에 활용할 수 있다.

▽황장수 위원장〓당의 홈페이지를 개편하자. 20, 30대를 장악하지 못하면 다음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

▽이상렬(李相烈) 위원장〓다음 정권은 누가 담당을 하든 반쪽정권이 아니고 통합정권이어야 한다.

<용인〓문철·윤영찬기자>fullmoon@donga.com

《29일 한나라당 국회의원―지구당위원장 연찬회 분임토의에서는 정국 대처 방안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다. 당 지도부에 대한 불만도 거침없이 쏟아졌다.》

▼3김과의 관계▼

▽김원웅(金元雄) 의원〓‘3김(金) 청산’의 깃발을 내려서는 안 된다.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을 면담한 것을 국민이 오해할 수도 있다.

▽김진재(金鎭載) 의원〓YS와 김윤환(金潤煥) 민국당대표, 필요하다면 김종필(金鍾泌) 자민련 명예총재까지 이총재 편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정권을 탈환하기 어렵다. YS가 부산에서 서도전을 했을 때 이총재가 직접 내려갔으면 좋았을 뻔했다. 국민의 마음이 실린 정도(正道)로 밀어붙이면 정치 9단들도 어떻게 하지 못한다.

▼국가보안법과 개혁▼

▽김용갑(金容甲) 의원〓국보법은 국가체제 및 당의 지지기반에 관한 문제이다. 시대에 필요한 개혁은 얼마든지 해야 하지만 국보법은 아직 손댈 수 없다.

▽안영근(安泳根) 의원〓국보법 문제와 관련해 자유투표를 허용해 달라. 당내에 당론을 따르지 못하고 양심을 고수하려는 사람이 많다. 이들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으면 당이 위험하다. 당의 지지기반이 보수층이라고 해서 세상의 변화하는 모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김원웅 의원〓당 지도부가 지나치게 보수적인 목소리에 매달려 시대흐름에 뒤지고 있다. 국보법에 대한 합의도출이 안되면 자유투표로 하자.

▼'안기부 돈 선거자금 유입' 사건▼

▽김부겸(金富謙) 의원〓국민으로서는 몇천억원을 선거자금으로 썼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과거의 잘못된 관행에 대해서는 깨끗하게 정치적으로 사과하는 자세도 필요하다.

▽김영일(金榮馹) 의원〓‘안기부 돈’ 문제를 푸는 것은 YS에게 달려 있다.

▼대여 비판과 정국 대응▼

▽김용갑 의원〓드라마 ‘왕건’의 궁예가 요즘 실성해 최후로 치닫고 있는데 강한 정부를 떠드는 DJ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교육부총리는 이념적으로 중립적인 사람이 맡아야 하는데 완전히 편향된 사람을 골랐다. 북한을 방문한 사람을 앉혀 김정일(金正日)이 좋아할지 모르겠지만 참으로 걱정된다. 자민련 문제는 용서할 수는 없지만 엄연한 현실이다.

▽안영근 의원〓자민련 교섭단체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인정해줄 때가 됐다. DJ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도 필요한 것은 도와줘야 정쟁에서 벗어날 수 있다.

▽김부겸 의원〓합법적으로 뽑은 대통령에 대해 퇴진투쟁까지 벌일 명분은 없다. 장외투쟁보다 정책으로 앞서서 도덕적 압박을 가해야 한다.

▼당 운영과 정책기능 활성화▼

▽김원웅 의원〓당 지도부가 소장파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말도 못하게 하는 권위주의적 행태도 문제다. 또 예결위 계수조정소위 위원 6명 중 5명이 영남 출신이었다.

▽김문수(金文洙) 의원〓이총재가 너무 심사숙고를 해 실기하는 경우가 많다. 당에 여러 가지 건의를 해도 반영되는 속도가 느리다.

▽김영춘(金榮春) 의원〓차기 내각을 미리 임명하고 대안을 제시해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천안〓김정훈·선대인기자>jngh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