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계개편 진행방향]野 이탈세력 「제3黨」만들 가능성

  • 입력 1998년 3월 29일 20시 04분


정계개편이 정치권의 ‘태풍의 눈’으로 급속 부상하면서 그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이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정계개편을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는 대략 그 시기와 폭, 형태, 개편후 구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시기적으로는 한나라당 김종호(金宗鎬) 박세직(朴世直) 이신행(李信行)의원의 탈당이 예정돼 있는 30일이 그 시발점이 될 것 같다. 한나라당이 정권재창출에 실패한 이후 처음인 이들의 탈당은 심리적 동요를 겪고 있는 한나라당의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4·2재 보선’의 결과도 정계개편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적 변수로 꼽힌다.

그러나 역시 정계개편의 밑그림을 좌우할 분수령은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예정된 4월10일이다. 전당대회 결과는 탈당을 저울질하고 있는 한나라당의원들에게 어떤 명분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정계개편의 ‘1차시기’라면 ‘2차시기’는 6월4일의 지방선거다. 지방선거에서 민심의 향배가 여야 중 어느 한 쪽에 쏠려 있는 것이 극명히 드러날 경우 정계는 급속히 재편성될 가능성이 높다.

정계개편의 폭이 얼마나 될 것인지는 현재로서 쉽사리 점치기 어렵다. 앞으로 정치일정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지극히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여야의 예측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탈당의원이 많아야 10명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자민련에서 이적해온 의원중 일부와 충청권 출신의원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들 이외에도 여러 의원들의 이름이 오르내리기는 하지만 실제로 ‘결행’에 옮길 의원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 한나라당지도부의 판단이다.

반면 여권은 적게는 20명, 많게는 50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본다. 총리인준과정에서의 설득작업과 그 이후 계속돼온 물밑 접촉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는 것이다.

그만큼 예상되는 의원들의 당적이동폭은 매우 유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계개편의 형태는 현재 진행되고 있듯 일단 한나라당내 민정계의 이탈로부터 출발한다. 그러나 향후 전개될 모양새는 이원화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즉 한나라당내 민주계와 민정계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이합집산의 과정을 거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민주계는 국민회의와의 이른바 ‘신(新)민주대연합’을, 민정계는 자민련과의 ‘보수연합’을 추구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을 탈당한 세력들이 곧바로 국민회의나 자민련에 흡수되기보다는 독자적인 교섭단체를 구성, 세를 불린 뒤 여권에 합류할 것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이 있다. 이들 이탈세력이 영남권중심의 신당을 창당, ‘홀로서기’를 시도할 수도 있으나 민정계와 민주계가 동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현재의 추세대로라면 ‘신3당구도’가 정착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정계개편으로 새로운 3당구도가 형성될 경우 의석분포도 관심거리다.

정계개편이 이뤄지면 어떤 경우가 됐든 한나라당 의석의 과반수 이하로의 감소는 시간문제다. 반면 과반수에 28석이 모자라는 여권은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의석을 합쳐 원내안정의석을 확보할 확률이 높다.

또 하나 흥미로운 가설은 한나라당내 민정계가 대거 자민련에 입당하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건재순이 뒤바뀔 수도 있다는 점이다. 36석이라는 의석차이를 감안하면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자민련의 위상이 상대적으로 강화될 것만은 분명하다.

〈최영묵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