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 집단탈당 파문]대선정국 勢싸움 조기점화

  • 입력 1996년 12월 20일 08시 15분


崔珏圭(최각규)도지사 등 강원지역의 자민련소속 단체장과 의원 2명이 19일 집단 탈당한데 따른 정치적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이들의 탈당이유가 무엇이든 강원지역에서 누가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느냐는 문제가 내년 대선국면에서 무시할 수 없는 변수이기 때문이다. 최지사 등이 탈당선언을 하자마자 자민련은 물론 국민회의도 일제히 성명을 내고 이들의 탈당을 「야당파괴공작」으로 규정한 뒤 격렬히 여측을 비난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정치적 성격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지사 등은 이날 오후 거의 동시에 가진 탈당기자회견에서 한결같이 「야당으로서의 한계」를 탈당이유로 꼽았다. 최지사는 『고성산불 등 지역현안을 해결하는데 어려움과 외로움이 많았다』고 말했고 柳鍾洙(유종수) 黃鶴洙(황학수)의원 등은 『평생 안하던 야당을 하려니 힘들어 못하겠다』는 고충을 전했다. 그러나 정치권 안팎에선 이들이 밝힌 탈당이유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그보다는 크든 작든 국민회의와의 공조에 따른 정치적 득실계산, 자민련 내의 역학구조, 여권의 영입작업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게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최근들어 자민련과 국민회의간의 대선공조 논의가 구체화되면서 국민회의의 金大中(김대중)총재로 후보가 단일화될 가능성(DJP연합)이 거론되자 이에 대한 거부감이 탈당을 결행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유, 황의원은 탈당선언에서 『무장간첩 침투사건으로 국가 안보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국가의 힘을 한곳으로 결집해야 하는데도 자민련의 노선은 그렇지 않다』며 불만을 표시한 것이 그 증거다. 또 한가지 야권의 대선공조 논의 구조가 주로 충청 호남 경북권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대한 소외감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자민련내에서 야권후보 단일화 작업의 선봉장격인 金龍煥(김용환)사무총장과 최지사간의 불화설은 이미 오래된 일이다. 이들이 공식적으로 밝힌 「야당으로서의 한계」도 이유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이들의 신한국당 입당설은 이같은 이유와 직접 연계돼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아무튼 이들의 탈당으로 각당은 대선구도의 밑그림을 다시 그려야 할 것 같다. 우선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공동집권구상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은 반면 신한국당에는 크든 작든 유리한 환경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야권 공동집권구상의 실질적 내용인 지역연합구도에서 일단 강원지역을 떼어놓고 생각해야 할 상황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宋寅壽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