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서정보]장례비 800만 원 남기고 떠난 모녀… 상속포기제도 알았더라면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17일 23시 48분


빚에 시달린 모녀가 목숨을 끊는 비극이 16일 광주 북구의 한 아파트에서 일어났다. 80대 노모 A 씨와 50대 딸 B 씨는 17층 집에서 투신했다. 이들은 “빚이 많아 너무 힘들다”는 유서를 남겼다. B 씨는 공기업에 다니고 있었고, A 씨는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으로 월 110만 원을 받고 있었다. 아파트도 B 씨 명의였다. 겉으로 보기엔 생활이 어려운 정도로 수입이 없는 건 아니었다. 하지만 문제는 2019년 사망한 A 씨 남편이 남긴 3억 원가량의 빚이었다. 그로 인해 모녀는 빚 독촉을 심하게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민법상 상속받을 재산보다 빚이 많을 경우 상속의 포기나 한정승인을 택하면 빚을 더 갚지 않아도 된다. 한정승인은 물려받은 재산 내에서만 빚을 갚는 것이다. 상속 포기 등은 상속 개시를 알게 된 날로부터 3개월 내에 가정법원에 신고해야 한다. 기간 내 하지 않으면 ‘단순 승인’으로 자동 간주돼 재산과 채무를 모두 상속하게 된다. A, B 씨는 나중에야 상속 포기를 알게 됐으나 이미 신고 기한이 지난 후여서 계속 빚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빚 상속은 알고 있는 사람들에겐 별거 아니지만 모르는 사람들에겐 큰 재앙의 시작이 될 수 있다. 지난해 8월 어머니와 두 딸이 가난과 지병으로 비극적 죽음을 맞은 ‘수원 세 모녀 사건’도 그 근원을 따지고 들어가면 빚 상속 때문이었다. 그들은 2020년 숨진 남편이 오래전 사업 부도로 남긴 빚으로 오랫동안 고통을 겪어 왔다. 그래서 동사무소에 신고한 주소와 다른 곳에 살면서 기초생활수급이나 긴급복지 혜택 등을 전혀 받지 않는 등 세상과 단절돼 살았다. 적어도 남편 사망 후 상속 포기를 했으면 빚 문제만큼은 해결할 수 있었는데 이를 모르고 사망신고도 하지 않았다.

▷미성년자들도 상속 빚에 시달리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해 11월 민법 개정 이전만 해도 미성년자들도 성인과 마찬가지로 ‘3개월 내 신고’라는 상속 절차를 거쳐야 했다. 법적 대리인을 통해 절차를 밟지 못한 미성년자들은 사망한 부모나 조부모의 빚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했다. 졸지에 빚쟁이가 된 미성년자들은 사회생활을 하기도 전에 신용불량자가 됐다. 언론의 문제제기 이후 정부와 국회는 성인이 되고 난 뒤 한정승인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키긴 했다.

▷광주 모녀는 유서와 함께 마지막 관리비 40만 원과 장례비 800만 원이 든 봉투를 남겼다. 끝까지 주변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한 사람들이 상속 포기라는 법 절차를 몰라 비극을 맞았다는 사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정부가 미성년자 상속제를 개선한 것처럼 취약계층의 빚 상속을 해결할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최소한 사망신고 시 동사무소에서 빚 상속에 대한 안내라도 충실히 해주면 비극을 막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상속포기제도#한정승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14
  • 슬퍼요
    17
  • 화나요
    2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 2023-10-18 04:57:08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죽음으로 남편의 빚을 갚았네요.. 정말 착한 사람들만 죽어가는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단군 이래 최대의 대장동 사기를 쳐도 멀쩡히 살고 있고, 그 이후로도 수많은 범죄에 연루되어 있는데도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가며 뻔뻔하게 살아 있으니 말입니다..

  • 2023-10-18 10:23:47

    생각해보면 빚상속은 상속인인 남은 가족들을 연대보증인 취급하는 것입니다. 연대보증각서를 쓴 것도 아닌데 말이죠. 아예 고인이 남긴 재산 한도 내에서만 채무를 상속하여 채권자들이 남긴 재산만 찾아가게 하는 한정승인 제도를 디폴트로 하는 것이 연대보증 제도 사용을 억제해가는 요사이 풍토에 더 맞는 것같습니다.

  • 2023-10-18 08:10:55

    고인과는 무관하게, 논설위원에 대한 반박 의견입니다.모든 것을 국가기관이 챙겨줄순 없습니다.성인이 되면 본인이 알아서 처리해야 하는 일이 많습니다.아파트 명의가 남편이 아니라 부인으로 추정되는 분에게 있다는 것은 재산압류에 대한 대비를 한 것으로 보이고,빚 상속 안내 여부가 확인도 안되었는데 마냥 행정기관에 떠 넘기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지금 뜨는 뉴스